
목차
오픈AI 테마 최근 동향
1. 카카오: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
- 2025년 2월 5일, 오픈AI 샘 올트먼 CEO 방한 계기로 양사 간 전략적 협력 발표
- 카카오톡 등 주요 서비스에 챗GPT 기반 AI 모델 적용 예정
- 협업 소식에 주가 5.26% 급등(2025년 2월 5일 기준 43,050원 기록)
2. 폴라리스오피스: GPT스토어 연계 서비스 확장
- 오픈AI GPT스토어에 가이드 챗봇 등록 진행 중
- 기업용 오피스 AI 솔루션 개발 역량 강조
-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 346.1% 성장 기록
3. 의료 AI 관련주 집중 부각
- 보로노이(24.38%), 루닛(13.48%), 제이엘케이(13.13%), 뷰노(11.16%) 등 상승세
- 오픈AI 의료용 챗GPT 개발 계획 시사로 투자심리 반영
- HIPAA 준수 절차 진행 소식이 긍정적 영향
4. 시장 전체 동향
- 국내 연기금 매수세 지속(국민연금 14.9% 목표 비중 상향)
- AI 테마주 다변화 추세: 의료∙보안∙자율주행 분야 확대
- 2025년 3월 기준 외국인 투자자 공매도 재개 움직임 주시 필요
5. 리스크 요인
- 오픈AI의 2026년 19조원 적자 전망 재확인(컴퓨팅 비용 증가)
-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경쟁 심화 가능성
- 단기 과열 구간 진입 종목에 대한 실적 점검 필요
기업명 | 오픈AI 관련주 선정 이유 |
---|---|
카카오 | - 국내 최초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 (2025년 2월) - AI 서비스 대중화 목표로 기술 협력 및 공동 상품 개발 추진 - 카카오톡, 카나나 등 주요 서비스에 오픈AI 최신 기술 적용 |
브리지텍 | - MS 자회사 뉘앙스와 파트너십 보유 - 오픈AI 'AI 음성비서' 개발 계획에 따른 시너지 효과 기대 - 뉘앙스와 협력, 음성인식 솔루션 선점, GPT-5 출시 전 음성 인터페이스 기술력 확보 |
플리토 | - 오픈AI GPT 스토어 참여 검토, '챗트랜스레이션'으로 협력 가능성 - MS, 아마존, 바이두, 텐센트 등 글로벌 IT 기업에 언어 데이터 공급 - 생성형 AI 학습에 필수적인 고품질 다국어 데이터 확보 |
코난테크놀로지 | - MS의 오픈AI 대규모 투자로 AI 산업 투자 심리 개선 - 자체 개발 LLM 및 생성형 AI 기술 보유, 오픈AI와 기술적 유사성 - 텍스트/영상/음성 통합 AI 솔루션 제공, 글로벌 AI 트렌드 부합 |
폴라리스오피스 | - 생성형 AI 기술을 오피스 솔루션에 통합 - 오픈AI GPT-3.5/GPT-4 모델,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연동 - GPT 스토어 챗봇 등록, 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 온디바이스 AI 오피스 솔루션 개발 |
1. 카카오
오픈AI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카카오는 2025년 2월 국내 최초로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며 관련주로 주목받았습니다. 양사는 AI 서비스 대중화를 목표로 기술 협력 및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 중이며, 카카오톡, 카나나 등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AI 경쟁력과 국내 시장 이해도를 결합해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회사 개요
- 설립일: 1995년 2월
- 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42
- 대표이사: 정신아
- 사원수: 약 3,916명(2025년 2월 기준)
- 기업 비전: "Connect Everything"을 통해 기술과 사람을 연결하며 혁신적 서비스 제공
주요 사업
- 플랫폼 서비스
- 카카오톡: 국내 최대 메신저 플랫폼(MAU 4,900만 명)
- 카카오페이지: 웹툰·웹소설 플랫폼
- 핀테크
-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모바일 결제 및 인터넷 은행 서비스
- 모빌리티
- 카카오T: 택시 호출 및 교통 서비스
- AI 및 기술 혁신
- 카카오브레인: 초대규모 언어모델 및 이미지 생성 AI 개발
- 카카오헬스케어: AI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예: 연속혈당측정기 '파스타')
재무 정보
- 2024년 3분기 매출: 59,146억 원(전년 대비 6.4% 성장)
- 영업이익: 3,848억 원(전년 대비 28.3% 증가)
- 자본잉여금: 8조 9,000억 원(외부 자금조달 위주)
시장 지위
- 국내 메신저 시장에서 98% 점유율로 사실상 독점적 지위
- 핀테크 부문에서 카카오페이·카카오뱅크는 국내 1위 서비스
- 글로벌 진출 전략('비욘드 코리아')으로 일본·북미 시장 공략 중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로벌 파트너: 오픈AI, 덱스콤, 노보노디스크
- 국내 파트너: SKT, 삼성전자, 주요 금융기관
- 고객 기반: 5,000만 명 이상의 카카오톡 활성 사용자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카나나(Kanana)
- 대화 맥락 이해가 가능한 AI 에이전트 서비스
- 개인 및 그룹 채팅에서 관계 강화 기능 제공
- 오픈소스 기술
- Khaiii(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Buffalo(추천 시스템 엔진)
- 클라우드 인프라
- 고성능 컴퓨팅(HPC)을 활용한 AI·의료·게임 분야 솔루션
향후 전망
- AI 대중화: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한 서비스 고도화 및 글로벌 확장
- 헬스케어 성장: '파스타' 서비스 국내 출시 후 미국·일본 시장 진출 예정
- 재무 안정화: 2025년 목표 주가 56,000원(모건스탠리 설)
- 도전 과제: 매출 성장률 둔화(연평균 5% 대) 및 수익성 개선 필요
2. 브리지텍
오픈AI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마이크로소프트(MS) 자회사 음성 AI 기업 뉘앙스와의 파트너십 보유
- 오픈AI의 'AI 음성비서' 개발 계획에 따른 시너지 효과 기대
- 애플 Siri 기술 공급사인 뉘앙스와의 협력을 통한 음성인식 솔루션 선점
- GPT-5 출시 전 음성 인터페이스 분야 선행 기술력 확보
회사 개요
- 1995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전문기업(2008년 코스닥 상장)
- AI 음성인식/화자인식, 클라우드 컨택센터, IP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분야 전문
- 2023년 기준 매출 535억 원, 영업이익 42억 원 규모
주요 사업
- AI 컨택센터(AICC): 음성봇·챗봇·STT(음성텍스트변환) 통합 솔루션
- 클라우드 콜센터: 구축형/클라우드형 하이브리드 서비스 제공
- 금융솔루션: 보이는 ARS, AI 로보텔러, 화상통화 시스템
- 통신인프라: IP Contact Center(IPCC), 지능망 신호처리 시스템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535억 원(전년 대비 -9.15%)
- 영업이익 41.63억 원(전년 대비 +6.2%)
- 연구개발비 연간 평균 10억 원 이상 투자
- 2024년 3분기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 15만주 기록
시장 지위
- 국내 유일 전방위 콜센터 솔루션 자체기술 보유
- 금융권 AI 컨택센터 시장 점유율 1위(2023 기준)
- 공공클라우드 CSAP 보안인증 최초 획득 기업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로벌 파트너: MS 뉘앙스, Nuance Communications
- 국내 협력사: KT, LG유플러스, 삼성SDS
- 주요 고객사: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삼성카드, 우리카드, 기업은행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신한은행 NEXT 컨택센터: 10,000CH 용량 AI 플랫폼 구축
- 의료녹취 시스템: 미국 병원 77% 적용 뉘앙스 기술 연계
- AI 음성분석엔진: 실시간 감정분석 및 대화맥락 추적 기능
- 멀티채널 통합: 전화/팩스/이메일/영상 통합 관리 체계
향후 전망
- 2030년 글로벌 음성인식 시장 54조 원 규모 예상에 따른 성장 가능성
- 오픈AI 챗GPT 연계 음성 인터페이스 수요 증가 대응
- 클라우드 기반 AICC 서비스 해외 진출 계획
- 금융/의료/공공 분야 AI 음성솔루션 수요 확대에 따른 신사업 기대
3. 플리토
오픈AI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플리토는 오픈AI의 GPT 스토어 참여를 검토 중이며, AI 번역 서비스 '챗트랜스레이션'을 통해 오픈AI 생태계와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바이두, 텐센트 등 글로벌 IT 기업에 언어 데이터를 공급하며, 생성형 AI 학습에 필수적인 고품질 다국어 데이터를 확보한 점이 주요 평가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회사 개요
2012년 설립된 플리토는 언어 데이터 판매 및 AI 번역 플랫폼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는 코스닥 상장 기업입니다. 전 세계 173개국 1,400만 명 이상의 유저를 보유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실시간 통역 솔루션과 다국어 데이터 구축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일본 도쿄, 중국 베이징에 해외 지사를 운영 중입니다.
주요 사업
- 언어 데이터 판매: AI 학습용 텍스트·음성·이미지 데이터 구축 및 판매(매출 비중 65.9%)
- 플랫폼 서비스:
- 실시간 AI 통역 서비스(챗트랜스레이션, 라이브 트랜스레이션)
- B2B 전문 번역(영상 자막, 웹툰, 웹소설, 메뉴판 등)
- 공공기관 맞춤형 번역 솔루션(인천국제공항, 부산역 등)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178억 원(전년 대비 30.2% 증가)
- 2024년 예상 매출: 263억 원(48% 성장 전망)
- 2024년 3분기 실적: 매출 147억 원(전년 동기 대비 15.7% 증가), 영업이익 흑자 전환
- 주요 고객사 수주 확대로 2024년 연간 영업이익 25억 원 흑자 예상
시장 지위
국내 최대 규모의 AI 언어 데이터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Microsoft, Oracle 등과 경쟁하며 중동·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4년 자이텍스 아프리카에서 '국제기업상' 수상으로 기술력 인정받았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로벌 IT 기업: Microsoft, Amazon, Tencent, Baidu
- 국내 기업: SK텔레콤, LG전자, 네이버
- 공공기관: 인천국제공항, 부산역, 문화비축기지
- 해외 기관: 사우디아라비아 메타코드, 아프리카 ICT 연합기구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라이브 트랜스레이션: 국제 컨퍼런스용 실시간 38개 언어 동시통역 솔루션(문화비축기지 포럼 적용)
- 스마트 공간 번역: 부산역 매표창구에 다국어 안내 시스템 구축
- AI 학습 데이터 협업: SKT '에이닷' 서비스에 언어 데이터 공급
- 글로벌 확장: 중동·아프리카 시장 대상 현지화 번역 솔루션 공급
향후 전망
온디바이스 AI 보급 확대로 소형 언어 모델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며, 플리토의 메타데이터 연계 데이터가 경쟁력으로 작용할 예정입니다. 2025년까지 애플 생태계 참여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으며, 중동 지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매출 다변화가 기대됩니다. AI 번역 시장 성장률(연평균 29%)을 상회하는 성과 달성이 예상됩니다.
4. 코난테크놀로지
오픈AI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마이크로소프트(MS)의 오픈AI 대규모 투자 소식에 따른 AI 산업군 전반의 투자 심리 개선
-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LLM) 및 생성형 AI 기술 보유로 오픈AI와의 기술적 유사성 인정
- 텍스트/영상/음성 분야 통합 AI 솔루션 제공으로 글로벌 AI 트렌드 부합
회사 개요
- 설립일: 1999년 4월
- 상장일: 2023년 7월(코스닥 기술특례 상장)
- 사업영역: 텍스트 AI, 비디오 AI, 디지털 트윈, AI 기반 솔루션 개발
- 직원 수: 245명(2025년 2월 기준)
- 본사: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327 대륭서초타워
주요 사업
- 텍스트 AI: LLM 개발, AI 검색/챗봇, 빅데이터 분석
- 비디오 AI: 객체 인식, 영상 분석, 생성형 콘텐츠 제작
- 디지털 트윈: 설비 수명 예측, PHM(고장진단 시스템)
- AI 플랫폼: 온디바이스 AI, MLOps/LLMOps 솔루션
재무 정보
- 2024년 9월 기준 누적 적자: 318억 원
- 연구개발 투자비중: 연매출 대비 40% 이상
- 최근 성장세: 2024년 6월 분기 매출 159% 증가(전년 대비)
- 시가총액: 1조 2,000억 원(2025년 3월 기준)
시장 지위
- 공공기관 AI 검색시스템 시장점유율 51%
- 국내 최초 공공기관용 LLM 도입 성공(한국남부발전 등)
- 2,000여 기관에 AI 솔루션 공급 실적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파트너사: SK텔레콤, 엔비디아, 한국투자증권
- 주요 고객: KB국민은행, SK브로드밴드, 서울시청, 국방부, 한국전력
- 장기계약: 54.9% 고객이 5년 이상 유지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국방 AI: 지능형 전장인식 시스템, 군용 이미지넷 플랫폼
- 의료 AI: 한림대병원과 생성형 의료 기록 플랫폼 구축
- 재난복구: 국가기록원 시청각자료 DR시스템 구축
- 핵심기술: 자체 개발 AI 프레임워크 '코난 디트레인'
향후 전망
- 2025년 국방 AI사업부 신설로 방위사업청 수주 확대 전망
- 생성형 AI 어플라이언스 '코난 온디바이스 AI' 상용화 예정
- 250억 건 빅데이터 기반 LLM 고도화를 통한 기업용 ChatGPT 시장 진출
- 정부 AI 예산 확대(’25년 9.4조 원) 수혜 기대
5. 폴라리스오피스
오픈AI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생성형 AI 기술을 오피스 솔루션에 통합하여 문서 작성 자동화, AI 이미지 생성, 문맥 기반 질의응답 기능 구현
- 오픈AI의 GPT-3.5/GPT-4 모델과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연동
- GPT 스토어에 챗봇 등록 및 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
- 업스테이지와 협력해 온디바이스 AI 오피스 솔루션 세계 최초 개발
회사 개요
- 1997년 인프라웨어로 설립, 2021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
- 글로벌 243개국 1.28억 명 사용자 보유(2025년 3월 기준)
- 클라우드 기반 오피스 솔루션, 모바일 보안, 협업 플랫폼 사업 주력
- 서울 구로구 본사 소재, 코스닥 상장(041020)
주요 사업
- 오피스 소프트웨어 : Polaris Office(MS 오피스 호환), Polaris Docs(협업 솔루션)
- AI 통합 서비스 : AI 글쓰기/이미지 생성/템플릿 추천 기능
- 모바일 보안 : V-Guard(금융기관 대상 모바일 백신)
- 기업용 솔루션 : Atlassian ITSM 플랫폼 공급
재무 정보
- 2023년 연결기준 매출 1,079억 원(전년 대비 346% 성장)
- 2023년 영업이익 62억 원, 당기순이익 244억 원 기록
- 2024년 1분기 매출 250억 원(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
시장 지위
- 국내 최대 글로벌 클라우드 오피스 서비스 제공업체
- 모바일 오피스 시장 점유율 70%(삼성/LG/HTC 등 탑재)
- 아틀라시안 국내 유일 플래티넘 파트너사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기술 협력 : 솔트룩스, 업스테이지, 카카오클라우드
- 고객사 :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국내 주요 금융기관
- 글로벌 파트너 : IBM, Citrix, Orange, Microsoft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Polaris Office AI : GPT-4/하이퍼클로바X 기반 문서작성 도구
- 애스크독(ASKDoc) : PDF/HWP 문서 내 콘텐츠 분석 기능
- 온디바이스 AI : 업스테이지 SOLAR 모델 탑재(오프라인 AI 문서작성)
- 구버(Goover) 연동 : AI 검색 기반 문서생성 통합 솔루션
향후 전망
- 생성형 AI 기능 확대로 ARPU(가입자당 매출) 30% 이상 상승 전망
- 2027년 글로벌 오피스 SW 시장 325억 달러 규모 성장 예상 대비
- B2B/B2G 시장 공략을 위한 맞춤형 AI 협업 도구 확장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하이브리드 AI 모델 결합으로 시장 선점 목표
이 글에 포함된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오직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