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로봇 감속기 관련주 TOP5|급등주 및 전망 총정리

by Sense.

목차

    로봇 관련주 테마 한눈에 보기

    로봇 감속기 관련 국내 주식 최근 동향

    로봇 산업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으면서 로봇의 핵심 부품인 감속기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감속기는 로봇의 정밀한 동작을 구현하는 핵심 부품으로, 로봇 제조원가의 30~4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합니다.

    시장 전망

    로봇 감속기 시장은 그동안 일본 기업인 하모닉드라이브시스템즈와 나브텍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해왔으나, 국내 기업들의 국산화 성공으로 일본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감속기 기업들은 일본 제품 대비 50% 가량 낮은 가격과 신속한 납기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대기업들이 로봇 사업에 뛰어들면서 로봇 감속기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며 로봇 사업 강화에 나서고 있어, 감속기 공급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로봇을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감속기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 일본산 산업용 로봇 감속기를 국산으로 대체하는 교체 수요도 기대됩니다.

    기업명 로봇 감속기 관련주 선정 이유
    레인보우로보틱스 - 로봇 핵심 부품(특히 감속기) 내재화 적극 추진
    - 자체 개발 감속기 시스템 적용 목표
    - 감속기 개발 완료 시 협동로봇 부품 전체 내재화로 경쟁력 및 가격 경쟁력 확보 예상
    하이젠알앤엠 - 로봇 핵심 부품인 액추에이터 분야 독보적 기술력 보유
    - 고토크/정밀 힘 제어 가능한 하모닉 감속기 및 고속 모터 제공
    - 역구동성 기술, 분산제어 기술로 로봇 성능 향상
    에스비비테크 - 로봇 핵심 부품 정밀 감속기 국내 최초 양산 성공
    - 일본 독점 시장에서 하모닉 감속기 개발 성공으로 국산화 선도
    - 일본 제품 대비 우수한 가격 경쟁력 확보
    에스피지(SPG) - 일본 독점 감속기 시장에서 국내 최초 로봇용 정밀 감속기 생산 성공
    - 중대형 SR감속기, 초소형 SH감속기 상용화
    - 유성감속기, SH감속기, SR감속기 3종 모두 생산 가능
    해성에어로보틱스 - 세계 최초 로봇 감속기 원천기술 보유
    - 고정밀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국산화 및 국내 유일 양산 시스템 구축
    -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육성사업 통해 기술력 입증

    1.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이족보행 로봇 '휴보(HUBO)'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랩 연구진이 2011년에 설립한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입니다. '함께하는 즐거움'을 추구하며, 기술과 인간, 정신과 물질의 만남을 의미하는 '교감(commune)'을 컨셉으로 하고 있습니다.

    1.1.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로봇 핵심 부품의 내재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2018년부터 감속기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회사는 내년 하반기에 자체 개발한 감속기를 회사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감속기 개발이 완료되면 협동로봇 부품 모두가 내재화에 성공해 더욱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핵심 부품 내재화 전략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있어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2. 회사 개요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원창업기업으로 설립된 법인기업으로, 2021년 2월 기술 성장성이 높은 기업으로 인정받아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상장을 완료했습니다. 현재 국내뿐 아니라 미국, 중국, 싱가폴의 연구기관, 국가기관, 기업 등에 로봇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약 97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전 유성구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1.3. 주요 사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협동로봇(RB 시리즈): 산업용 로봇의 한 종류로,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하면서 사람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로봇입니다. 용접, 팔레타이징, 머신텐딩 등 다양한 작업에 적용 가능하며, 현재 회사의 주요 수익모델입니다.
    2. 이족보행로봇 및 사족보행로봇: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휴보(HUBO)'를 근간으로 합니다. 사족보행로봇은 감시, 정찰, 수색 임무 수행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험지 이동 및 재난 상황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초정밀지향마운트시스템(RST 시리즈): 천문 관측 등에 사용되는 정밀 지향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4. 서비스 로봇: 미디어 서비스 로봇 제이(JAY), 의료 레이저 로봇 토닝 시스템, 칵테일 로봇 및 바리스타 로봇 등을 개발하여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로봇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5. 자율이동로봇(AMR): 물류 자동화를 위한 로봇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1.4. 재무 정보

    구분 (단위: 억원) 2020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54 90 136 164 197
    영업이익 -13 -10 13 -439 -23
    당기순이익 -14 -78 58 1 28

    1.5. 시장 지위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협동 로봇 시장에서 유니버설 로봇, 두산로보틱스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핵심 부품 및 소프트웨어 자체 개발 능력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이족보행 로봇 기술 분야에서는 세계 3위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자체 평가하고 있습니다.

    1.6.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1. 삼성전자: 2024년 12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35.0%를 확보하며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되었으며, 양사는 '에스앤알(S&R) 휴머노이드 팀'을 꾸려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2. 토요타: 일본 완성차 업체 토요타에 이동형 양팔 로봇인 'RB-Y1'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토요타는 자동차 생산 접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로봇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CJ대한통운: AI 휴머노이드 물류로봇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과 CJ대한통운의 에이전틱 AI 기술이 결합해 스스로 판단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고도화된 물류로봇을 개발 중입니다.
    4. 티로보틱스: 물류 자동화 로봇 개발을 위해 협업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제조 역량과 티로보틱스의 AMR 기술력을 결합해 로봇 품질과 생산성을 개선할 방침입니다.

    1.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1.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2028년을 이족보행 플랫폼의 양산화와 일반인들에게 활용할 수 있는 목표 시점으로 설정하고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2. 정부 과제 참여:
      • 산업환경을 위한 능숙 조작 민첩 보행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 작업교시·지능 연계를 위한 40종 이상 다종부품 조작 구현이 가능한 모바일 매니퓰레이션 시스템 개발
      • 주력 제조업종의 자율제조를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자율공정 운영 기술 개발
    3. 핵심 부품 내재화: 로봇의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하여 내재화하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감속기 개발이 완료되면 협동로봇 부품 모두가 내재화에 성공하게 됩니다.

    1.8. 향후 전망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지원 아래 글로벌 시장에서 도약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삼성전자의 AI, 소프트웨어 기술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북미 시장 진출도 본격화될 전망이며,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이 북미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시장 확대가 기대됩니다. 특히 2025년 초에는 차세대 2족형 휴머노이드 공개를 앞두고 있으며, 양산형 제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글로벌 로봇 시장은 향후 10년 내에 최대 60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입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잠재력이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다만 지속적인 적자와 높은 연구개발비는 단기적으로 리스크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특정 제품 의존도 또한 장기적인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2. 하이젠알앤엠

    2.1.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하이젠알앤엠은 로봇 산업의 핵심 부품인 액추에이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이 발전함에 따라 관절 수가 증가하고 세밀한 제어가 필수적인 상황에서, 고토크와 정밀한 힘 제어가 가능한 하모닉 감속기와 고속 모터를 제공하는 하이젠알앤엠의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역구동성 기술을 통해 로봇이 사람과 상호작용 시 충돌에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분산제어 기술로 로봇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지연 속도를 줄여 빠르고 유연한 동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2.2. 회사 개요

    하이젠알앤엠은 1963년 LG전자의 모터사업부에서 시작하여 2007년 9월에 설립된 후, 2008년 1월 독립법인으로 분리된 산업용 모터 및 로봇 액추에이터 전문 제조업체입니다. 약 60년간 축적된 모터 기술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로봇, 전기차(EV), 건설기계, 우주항공 등 다양한 산업에 필요한 구동 모듈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25년 6월 27일에 코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했으며, 현재 223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2.3. 주요 사업

    하이젠알앤엠의 주요 사업은 크게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1. 범용모터: 펌프, 팬, 컴프레셔 등 산업용에 주로 사용되는 전동기를 생산하며, 고압모터, 저압모터, 내압 방폭형 모터 제품으로 구분됩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의 76.7%를 차지하는 핵심 사업입니다.
    2. 서보모터 및 드라이브: 움직임을 지정하면 입력된 값만큼 정확히 움직일 수 있는 모터로, 국내 유일 75kW급 초대형 서보 및 모든 인증을 취득한 방폭서보 등 특수목적용 제품을 판매합니다. 매출의 20.7%를 차지합니다.
    3. 로봇용 액추에이터: 2018년부터 시작한 사업으로, 각종 로봇의 관절 부분에 장착되어 로봇 구동을 유연하게 하는 부품 모듈을 개발합니다. 협동로봇, 물류로봇, 휴머노이드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에 적용 가능한 42종류 이상의 맞춤형 액추에이터를 개발했으며, 회사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4. EV모터 및 인버터: 골프카트, 초소형전기차, 1톤 트럭, 버스 등 모빌리티 구동모듈을 개발하며, 매출의 2.7%를 차지합니다.

    2.4. 재무 정보

    구분 (단위: 억원) 2020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732 852 875 772 759
    영업이익 22 22 49 43 -4
    당기순이익 17 10 40 26 -11

    하이젠알앤엠의 2024년 기준 매출액은 약 758억 3,887만원입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주요 제품별 매출 비중은 범용모터 76.7%, 서보모터·드라이브 20.7%, EV모터·인버터 2.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3년에는 매출액 약 772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43.4억 원, 당기순이익은 26.7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2025년 1분기에는 매출 193.5억 원, 영업이익 5.8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5. 시장 지위

    하이젠알앤엠은 국내 범용전동기 시장에서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과 함께 국내 시장의 80%를 점유하는 과점사업자로서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로봇용 액추에이터 분야에서는 국내 유일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내압방폭형 서보모터 생산 인증 업체이자 75kW까지의 서보모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6.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하이젠알앤엠은 국내 대표 로봇 제조사들과 기술 개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H사의 협동로봇 모멘텀 3세대 HCR-14용 모터 3종을 개발 납품했으며, L사와 협동로봇 일반 고객 및 특약점 판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또한 I사의 한빛-TLV 발사에 하이젠알앤엠의 액체산소펌프가 설치되어 성공적으로 운용되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H사와 연간 1,000만 달러 규모의 상담이 진행 중입니다.

    2.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하이젠알앤엠은 총 39건의 국책 과제를 수행했으며, 최근에는 정부 연구과제 3건의 주관 기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주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5kW급 산업물류용 전동화 플랫폼 개발
    2. 중희토류 배제 이방성 본드자석 및 DC전원기반 서보시스템 개발
    3. 기능안전 설계기술을 적용한 로봇구동모듈 개발

    기술적으로는 내륜형과 외륜형 타입을 포함해 100W부터 2kW급까지 다양한 구동모듈을 제공하며, 차세대 모터인 AFPM(축방향자속 영구자석) 모터 개발 등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선행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 발사체의 연료 분사 펌프용 액추에이터 개발에도 성공하여 국내 우주 발사체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8. 향후 전망

    하이젠알앤엠은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창원공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연 242억 원 규모인 생산능력을 2025년 하반기에는 3.8배인 연 940억 원 규모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공장 2층에 액추에이터 생산 설비를 확충하여 로봇용 액추에이터 본격 양산에 나설 예정입니다.

    또한 전기차, 건설기계, 항공우주, 방산 등 다양한 산업에 모빌리티용 액추에이터 공급을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케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며, 인도 기업과 협력하여 전기차용 모터 생산을 위한 합작 법인을 설립할 계획도 가지고 있습니다.

    AI와 로봇 산업의 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고성능 액추에이터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대기업들이 로봇 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하이젠알앤엠의 성장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가에서는 휴머노이드 산업이 발전함에 있어 하이젠알앤엠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향후 외형 성장이 동반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3. 에스비비테크

    3.1.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에스비비테크는 로봇 핵심 부품인 정밀 감속기를 국내 최초로 양산에 성공하면서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감속기는 모터의 속도를 줄이는 대신 구동력을 높여 로봇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핵심 부품으로, 로봇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제작이 어려워 그동안 일본 하모닉드라이브시스템즈(HDS)가 전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독점해왔습니다. 에스비비테크는 이러한 기술 장벽을 극복하고 2010년 소형 감속기 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2013년 국내 최초로 하모닉 감속기 개발에 성공하며 국산화를 이끌었습니다. 특히 일본 제품 대비 60~80%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지속적인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3.2. 회사 개요

    에스비비테크는 1993년 1월에 설립되어 2000년 11월에 법인으로 전환된 대한민국의 로봇 기업입니다. 본사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2025년 5월 현재 직원 수는 약 83명이며, 류재완과 송진웅이 공동 대표이사를 맡고 있습니다. 회사는 베어링 전문 업체로 시작하여 정밀 감속기 영업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글로벌 초우량 구동장치 제조 전문회사'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3. 주요 사업

    에스비비테크의 주요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베어링 사업: 진공, 고온, 부식 등 특수 환경에서 사용되는 초박형 베어링을 자체 기술로 생산하여 반도체, LCD 관련 분야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73.3%를 차지합니다.
    2. 감속기 사업: 로봇의 관절 구동을 위한 정밀 감속기를 생산합니다. 특히 하모닉 타입 감속기인 '로보 드라이브(ROBO Drive)'는 소형 경량화, 논-백래시(Non-Backlash) 특성을 갖추고 있어 산업용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반도체 제조장치 등에 사용됩니다. 이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26.6%를 차지합니다.

    이 외에도 로봇의 관절에 필요한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 제작한 일체형 구동 장치(ACTUATOR, RA) 등을 생산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3.4. 재무 정보

    구분 (단위: 억원) 2020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66 68 75 51 55
    영업이익 -26 -22 -18 -56 -69
    당기순이익 -33 -28 -53 -110 -9

    2023년 기준 에스비비테크의 매출액은 51억 3,427만원으로 전년 대비 31.27% 감소했습니다. 영업손실은 53억 6,093만원으로 전년 대비 191.88% 증가했으며, 당기순손실은 108억 553만원으로 전년 대비 105.18%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실적 악화는 매출액의 60%를 차지하는 베어링 전방산업인 반도체 업체의 감산과 감속기 개발에 따른 인력 및 연구개발비 증가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2024년에는 하반기부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동률 상승으로 매출액이 7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1분기부터는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5. 시장 지위

    에스비비테크는 국내 로봇 감속기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국내 하모닉 타입 감속기 시장 규모는 550억원으로 추정되며, 에스비비테크의 시장 점유율은 약 4%로 추정됩니다. 글로벌 하모닉 감속기 시장은 2020년 7억 달러에서 2024년 12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에스비비테크는 이 성장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에스비비테크는 2017년 로봇산업발전 유공 산업포장을 수상하고 올해의 대한민국 로봇기업(로봇 부품 부문)으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소부장 으뜸기업'에 선정되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3.6.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에스비비테크의 주요 고객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속기 부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디펜스, 하이게인안테나, 현대로보틱스 등
    • 베어링 부문(국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 베어링 부문(해외): SONY 등

    특히 방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국내 협동로봇 기업들과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3.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에스비비테크는 다음과 같은 핵심 기술과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1. 정밀 감속기 기술: 독자적인 치형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하모닉 감속기를 개발했으며, 현재는 3세대 제품을 준비 중입니다.
    2. 특수 환경용 베어링 기술: 진공, 고온, 부식 등 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베어링을 자체 기술로 생산합니다.
    3. R&D 프로젝트: 산업부 선정 "소부장 으뜸기업100"에 선정되어 4년간 120억 수준의 R&D 자금을 지원받아 국책연구소와 함께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 신사업 개발: 이모빌리티(E-Mobility) 용도의 감속기 개발 등 새로운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3.8. 향후 전망

    에스비비테크는 다음과 같은 성장 전략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1. 생산능력 확대: 현재 연간 5만개 수준인 감속기 생산능력을 연간 20만개 규모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2. 글로벌 시장 진출: 중국, 대만,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을 교두보로 하여 향후 유럽 시장까지 진출할 계획입니다. 특히 대만 스카라(수평 다관절 로봇) 로봇 기업과의 공급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습니다.
    3. 제품 라인업 확대: 독자 치형 감속기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3점 접촉 방식의 감속기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4. 신규 시장 개척: 로봇뿐만 아니라 방위산업,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감속기 공급처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정부의 로봇 핵심 부품 국산화 정책과 함께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방산업의 회복으로 에스비비테크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본격적인 감속기 매출 증가와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에스피지

    에스피지(SPG)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어드 모터 전문 기업으로, 1991년 성신정공으로 설립되어 2000년에 현재의 상호인 에스피지로 변경되었습니다. 200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이준호 회장의 장남 이상현과 차녀들이 약 4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가족 경영 기업입니다.

    4.1.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에스피지는 일본이 독점하고 있던 감속기 시장에서 국내 최초로 로봇용 정밀 감속기 생산에 성공했습니다. 감속기는 로봇 부품의 핵심으로, 에스피지는 2018년 중대형 정밀감속기인 SR감속기를, 2021년에는 초소형 정밀감속기인 SH감속기를 상용화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유성감속기, SH감속기, SR감속기 세 가지 제품 모두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으로, 로봇 산업의 핵심 부품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4.2. 회사 개요

    에스피지는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에 본사와 R&D센터, 공장을 두고 있으며, 중국 칭다오와 쑤저우, 베트남 호치민, 미국 시카고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기준 직원 수는 414명이며, 평균 근속연수는 7.4년입니다. 1973년 이해종 故 (주)성신 회장의 장남 이준호 대표가 아버지 기업인 (주)성신에서 일을 배운 후 1991년 독립하여 설립했으며, 2016년에는 아버지 기업인 (주)성신을 흡수 합병하여 모터 제조 기술 및 노하우를 확보했습니다.

    4.3. 주요 사업

    에스피지의 주요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모터 사업: 소형 정밀 모터, 산업용 모터, 가정용 모터를 생산하며, AC모터, DC모터, BLDC모터 등 약 3,500종에 달하는 다양한 모터를 제조합니다. 2023년 기준 매출의 약 89%를 차지하는 주력 사업입니다.
    2. 정밀감속기 사업: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사업으로, 로봇용 정밀 감속기를 생산합니다. 유성감속기, SH감속기, SR감속기 세 가지 제품을 모두 생산하며, 협동로봇, 산업용 로봇, 반도체 검사장비 등에 사용됩니다. 2023년 정밀감속기 부문 매출은 130억원 이상을 달성했으며, 2024년에는 3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4. 재무 정보

    구분 (단위: 억원) 2020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3,548 4,163 4,405 3,938 3,885
    영업이익 181 235 255 160 123
    당기순이익 141 229 197 110 131

    에스피지의 2023년 매출액은 3,938억원, 영업이익은 16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1분기 기준 매출액은 978억원, 영업이익은 31억원을 달성했습니다. 2002년 코스닥 상장 이후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코스닥시장 공시우수법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매출은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정밀감속기 부문의 성장으로 향후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4.5. 시장 지위

    에스피지는 국내 감속기 시장에서 약 70%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10대 감속기 업체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양문형 냉장고 얼음분쇄기용 모터의 경우 전 세계 시장 점유율 80%로 1위 공급사입니다. 1990년대까지 국내 감속기 시장은 일본 기업 점유율이 90%에 달했으나, 에스피지의 등장으로 현재는 5%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정밀감속기 부문에서는 일본, 독일 등의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으며, 납기와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4.6.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에스피지는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1. 국내: 삼성전자, LG전자, 코웨이, 위닉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스타 등
    2. 중국: Haier, Midea, TCL, Foxconn 등
    3. 미주: GE, Whirlpool, Electrolux, 코카콜라 등
    4. 유럽: BOSCH, Arcelik, Miele 등
    5. 일본: Sumitomo, Yamazaki, Fuso 등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과 휴머노이드 로봇에 에스피지의 정밀감속기가 탑재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이 출시하는 웨어러블 로봇과 반도체 장비에도 공급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에는 미국 의료장비 기업에 메디컬 수술 로봇용 정밀감속기를 수출할 예정입니다.

    4.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에스피지는 매년 40억원 이상을 감속기 연구개발(R&D)에 투입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기술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정밀감속기 기술: 유성감속기, SH감속기, SR감속기 세 가지 제품을 모두 국산화하였으며, 일본 경쟁사 대비 납기를 10분의 1 수준으로 단축하고, 가격은 약 50% 낮추었습니다.
    2. 휴머노이드 관절용 액추에이터 개발: 2025년 3월부터 감속기, 모터, 제어기가 하나로 이루어진 초박형·경량화된 액추에이터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게를 줄이면서 토크(힘)를 늘릴 수 있는 기술입니다.
    3. 메디컬 로봇용 정밀감속기: 신소재를 적용해 기존 정밀감속기 대비 경량화·슬림화를 구현한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4. 소재 내재화: 소재사와 협력해 감속기 소재인 특수합금강까지 내재화하여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4.8. 향후 전망

    에스피지는 정밀감속기 부문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4년에는 정밀감속기 매출이 3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후에도 매년 2배씩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협동 로봇, 산업용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확대와 함께 정밀감속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에스피지의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또한 에스피지는 정밀감속기 생산 능력을 2023년 하반기 기준 10만대에서 15만대로 확장할 예정이며, 휴머노이드 관절용 액추에이터 개발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국내 핵심 부품 자립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글로벌 정밀감속기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5. 해성에어로보틱스

    5.1.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해성에어로보틱스는 세계 최초로 로봇 감속기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로봇 산업의 핵심 부품인 고정밀 사이클로이드(Cycloid) 감속기의 국산화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일본과의 무역마찰에 대비한 국가적 지원사업인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의 국산화 실증사업"에 참여하여 우수한 성능으로 실증테스트를 통과했습니다.

    로봇 감속기는 산업용 로봇의 핵심 부품으로, 그동안 일본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해왔으나, 해성에어로보틱스가 국내 유일하게 양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로봇 산업 자립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시장 잠재력으로 인해 로봇 감속기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5.2. 회사 개요

    해성에어로보틱스는 1991년 7월 1일에 설립되어 30년 이상 감속기 한 분야에 매진해온 감속기 및 기어 설계·제조 전문 기업입니다. 1997년 3월에 주식회사 해성산전으로 법인 전환되었으며, 2014년 1월에 주식회사 해성굿쓰리로, 2018년 3월에 해성티피씨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24년에 현재의 해성에어로보틱스로 상호를 변경했습니다.

    2021년 4월 21일에 한국투자증권을 주관사로 하여 공모가 13,000원에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상장했습니다. 본사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고잔동 남동산업단지)에 위치해 있으며, 대표이사는 이건복, 이정훈(각자 대표)입니다. 회사는 총 36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5.3. 주요 사업

    해성에어로보틱스의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승강기용 권상기(감속기) 생산: 수직 및 수평 이동 수단인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핵심 부품인 승강기용 권상기를 생산하며, 국내 승강기 시장에서 65%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제조로봇용 고정밀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총 29종의 제조로봇용 고강성, 고정밀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기본모델을 개발 완료하여, 로봇 제조사의 가반중량 6kgf부터 1,500kgf까지 다양한 소형부터 대형 제조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3. 풍력발전기용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로봇용 감속기 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풍력발전기용 감속기 개발에도 적용하고 있습니다.
    4. 공작기계용 감속기: 로봇용 감속기 기술을 기반으로 공작기계용 감속기 등 응용제품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5.4. 재무 정보

    구분 (단위: 억원) 2020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167 152 139 137 149
    영업이익 -3 -11 -13 -15 -7
    당기순이익 -9 -11 -10 -8 -5
    • 매출 구성은 승강기용 권상기(제품) 82.09%, 산업용 감속기(제품) 12.73%, 상품 및 기타 4.93%, 로봇용 감속기(제품) 0.2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5.5. 시장 지위

    해성에어로보틱스는 다음과 같은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국내 승강기 시장에서 65%의 점유율을 확보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로봇용 고정밀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분야에서 국내 유일의 양산 시스템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 일본 하모닉 드라이브 대비 30%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2024년 기준 감속기 연간 생산량 20만 대를 달성했습니다.
    • 로봇 감속기 시장에서는 일본의 Nabtesco가 60~70%를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유일의 사업화 성공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5.6.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해성에어로보틱스는 다음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의 국산화 실증사업: 일본과의 무역마찰에 대비한 국가적 지원사업으로 진행된 이 프로젝트에서 우수한 성능으로 실증테스트를 통과했습니다.
    2.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기술: 높은 하중과 사용 빈도에서도 정밀도를 유지하며 저 백래쉬(backlash)를 실현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특허 기술: 로봇용 감속기 및 사이클로이드 응용제품의 구조 및 공정과 관련한 총 17개의 특허를 등록 완료했습니다.
    4. 제품 라인업 확장: 매년 5개 이상의 모델을 추가 개발하며 세분화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5.7. 향후 전망

    해성에어로보틱스의 향후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로봇 감속기 사업 확대: 2025년까지 10만 대 감속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생산량의 2배 이상 증가를 의미합니다.
    2. 정부 정책 수혜: 정부의 로봇 100만 대 보급 정책의 최대 수혜 기업으로 꼽히고 있어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3. 제품 다각화: 최근 산업용 로봇 외에도 협동 로봇과 서비스 로봇용 감속기 개발에 성공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4. 양산 체제 진입: 국산 제품의 양산 적용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양산 체제 진입을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 매출 전망: 2025년 매출 전망치는 1,260억 원(KB증권)으로, 로봇 감속기 사업이 본격화되면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6. 글로벌 시장 진출: 기존의 안정적인 승강기 사업과 함께 로봇 감속기 사업의 성장이 맞물려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해성에어로보틱스는 로봇 산업의 핵심 부품인 감속기 분야에서 국내 유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혁명과 로봇 산업의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로봇 관련주 테마 한눈에 보기

    이 글에 포함된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오직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