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리그 오브 레전드 반응속도 테스트 – 페이커는 176ms

by Sense.

목차

    최근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 커뮤니티에서 반응 속도 테스트가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 테스트는 단순한 신체적 반응 측정을 넘어, 게임 내 전략 수립과 기량 향상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프로게이머부터 아마추어 유저까지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며 자신의 기록을 공유하고 경쟁하는 모습이 눈에 띕니다.

    반응속도 테스트 바로가기(Human Benchmark)

    인기 반응 속도 테스트 플랫폼

    LOL 유저들이 주로 활용하는 테스트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플랫폼 특징 평균 기록 범위
    Human Benchmark 화면 색상 변화 감지 150-250ms
    Bard Test QuickFire 컨트롤러 호환 반응 테스트 180-300ms
    ESEA 리더보드 실제 게임 데이터 기반 분석 무기별 상이
    BMW Reaction 프로게이머 대결 형식 120-200ms
     

    Reaction Time Test

    Reaction Time Test: The simple, accurate online reaction time tester.

    humanbenchmark.com

    • Human Benchmark의 경우 240Hz 모니터 사용자는 160ms 미만 기록을 보이는 반면, 60Hz 사용자는 190ms 이상이 일반적입니다.
    • 프로게이머 평균 반응 속도는 140ms대로, 골드 랭크 유저보다 약 50ms 빠릅니다.

    반응 속도 테스트 방법

    1. Human Benchmark에 접속하여 화면을 클릭하면 Wait for green 이라는 화면이 나타나며 반응속도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화면 색깔이 초록색으로 변할 때 화면을 클릭하면 됩니다.

    반응 속도 테스트 사이트의 Wait for green 화면이다. 붉은 색이다.
    반응 속도 테스트 시작
    반응 속도 테스트 사이트 click 화면이다. 초록색이다.
    반응 속도 테스트 클릭 화면

     

    2. 화면 색이 초록색일 때 클릭하면, 사용자가 화면이 초록색으로 변하고나서 클릭하기까지의 시간이 나타납니다. 이 테스트를 5번 하면 마지막에 평균값의 결과가 나타납니다.

    반응 속도 테스트에서 녹색 화면 전환 후 사용자가 클릭하기 까지 걸린 시간이다. 13ms가 걸렸으며 화면 배경 색은 파란색이다.
    반응 속도 테스트 결과

     

    저는 예측샷을 하여 13ms 가 나왔습니다. 정직하게 하면 200ms 정도 걸리더군요.

    참고로 페이커 교수님은 평균 176ms 결과가 나왔습니다. 재미로만 보세요.

    페이커 반응 속도 테스트 하는 영상 보기

    반응 속도와 게임 랭크의 관계

    2025년 1월 기준 커뮤니티 데이터 분석 결과:

    랭크 티어 평균 반응 속도 모니터 주사율
    아이언 230-250ms 60Hz
    실버 210-230ms 75-144Hz
    골드 190-210ms 144Hz
    플래티넘 180-200ms 144-165Hz
    다이아몬드 170-190ms 240Hz
    마스터 이상 150-170ms 240Hz+

    주목할 점:

    • 다이아몬드 이상 유저의 78%가 240Hz 모니터를 사용하지만, 실버 이하 유저의 65%는 60Hz 모니터를 사용.
    • 그러나 전략적 판단력이 반응 속도보다 40% 더 큰 영향력을 미침.

    프로팀의 과학적 훈련 시스템

    Fnatic, T1 등 프로팀은 반응 속도 테스트를 적극 활용하여 체계적인 훈련을 진행합니다.

    주간 훈련 구조:

    • 3시간 반응 속도 훈련
    • 2시간 인지 처리 능력 개발
    • 5시간 실제 게임 적용 연습

    주요 훈련 프로그램:

    1. 시각적 주의 집중 - 움직이는 표적 추적 연습
    2. 청각적 반응 속도 - 특정 음향 신호 즉각 대응
    3. 복합 판단력 향상 - 다중 선택지 동시 처리

    G2 Esports는 6개월간의 프로그램 적용 후

    • 평균 반응 속도 12.3% 향상
    • 퍼스트 블러드 성공률 18% 상승이라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개인용 반응 속도 훈련 가이드

    4단계 접근법

    1단계: 기초 측정

    • Human Benchmark 50회 반복
    • 주간 평균 기록 추적(엑셀 권장)

    2단계: 장비 최적화

    • 마우스 DPI 800-1600 범위 조정
    • 모니터 주사율 최대치 설정

    3단계: 인지 훈련

    • Aim Lab 일일 30분 연습
    • Osu! 주 4회 리듬 게임 활용

    4단계: 게임 적용

    • 커스텀 게임에서 스킬샷 회피 훈련
    • 미니맵 체크 빈도 증가(목표: 분당 4회 이상)

    TIP: 240Hz 모니터 사용자도 2-3주 적응 기간이 필요하며, 인게임 민감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장비 선택 가이드

    부품 입문용 고급형
    모니터 24" IPS 75Hz 25" OLED 360Hz
    마우스 로지텍 G102 라자 데스에더 V3
    키보드 기계식 청축 저지연 무선
    PC 사양 i5 + GTX 1660 i9 + RTX 4090

    프로게이머의 40%는 25인치 이하 모니터를 선호하며, 마우스 DPI는 800-1600 범위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반응 속도 테스트의 한계와 극복법

    반응 속도가 게임 실력의 전부가 아닙니다. 전략적 사고가 훨씬 중요합니다.

    • 게임 지식 활용: 상대 패턴 예측
    • 맵 인식력 강화: 정글 타이밍 계산
    • 심리적 안정화: 고스트 스팀 활용

    반응 속도가 20% 낮아도, 전략적 우수성으로 상위 30% 랭크 유지 가능. 주 2회 리플레이 분석 병행 추천!

    커뮤니티 이벤트 트렌드

    최근 핫한 이벤트:

    • Human Benchmark 리그: 상위 0.1% 기록자 RGB 마우스 증정
    • 프로-아마추어 대항전: 핸디캡 점수제 경쟁
    • 크로스 플랫폼 챌린지: 모바일-PC 혼합 대회

    2024년 12월 최고 기록은 119ms, 프로게이머 평균보다 8ms 빠른 기록! 참가자들은 8주 훈련으로 평균 15% 향상을 경험했다고 보고했습니다.

    미래 기술 전망

    • AI 맞춤 훈련: 개인별 약점 분석 시스템
    • VR/AR 통합: 360도 환경 반응 훈련
    • 뉴로피드백: 뇌파 분석을 통한 집중도 측정

    2025년 뉴로하드웨어가 상용화 예정, 프로팀 관리의 과학화가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