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최근 동향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과 관련된 국내 주식 시장의 최근 동향은 전쟁 종식 기대감과 대규모 재건 수요에 따른 기업별 참여 전망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720조 원 규모의 '제2의 마셜플랜'으로 불리는 이 프로젝트는 주택, 교통,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국내 건설·인프라 기업들의 활약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HD현대 계열사의 주도적 역할
HD현대인프라코어와 HD현대건설기계를 비롯한 HD현대 계열사들은 우크라이나 정부로부터 직접적인 사업 참여 요청을 받으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중장비 공급 및 인프라 구축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협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건설기계 부품 제조사인 동양피스톤, 동일금속 등 협력업체들도 간접 수혜 기대감에 거래량이 증가했습니다.
정부 간 협력과 금융 지원 구조
한국 정부는 2023년 폴란드와 체결한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MOU'를 기반으로 동유럽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 중입니다. 삼일PwC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 인프라 복구와 의료 시설 건설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과 EU에 비해 재정 지원 규모가 작아 현지 진출 시 선점 경쟁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주가 변동성과 시장 반응
2월 중순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평화 협상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주들이 단기적으로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13% 이상 급등했으며, 동양파일·동일고무벨트 등 건설 자재 기업들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주간 일부 종목에서는 조정 국면이 나타나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이는 현지 재정난과 부패 문제 등 리스크 요인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향후 과제와 전망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해서는 현지 법률 시스템 이해, 자금 조달 메커니즘 구축, 부패 리스크 관리가 핵심 관건으로 꼽힙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정부의 부채 비율이 GDP 대비 90%를 넘어서는 상황에서 국제기구와의 협력 체계 마련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전문가들은 2025년 2분기 중 본격적인 입찰이 시작되면 관련주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기업명 |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선정 이유 |
---|---|
현대건설 | -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 적극 참여, 핵심 인프라 복구 주도 - '리빌드 우크라이나' 박람회 유일한 한국 건설사로 참가, 송변전 시설 및 공항 확장 사업 등 MOU 체결 - 우크라이나 전력공사와 약 1조 원 규모 송변전 사업 참여 예정 - 키이우 보리스필 공항 확장 프로젝트에 한국공항공사와 협력, 첨단 인프라 구축 추진 |
POSCO홀딩스 | - 모듈러 건축 기술 활용, 우크라이나 인프라 복구 프로젝트 참여 - 포스코인터내셔널, 미콜라이브 주와 협력해 철강 모듈러 제조 시설 건립 합의 - 전쟁 피해 지역 사회기반시설(학교, 병원, 주택 등) 신속 복구 기여 - 현지 농업 인프라 운영 경험(미콜라이브 곡물 터미널) 재건 사업 연계 |
HD현대인프라코어 | - 우크라이나 인프라부와 협력, 재건 사업 참여, 현지 건설기계 및 장비 수요 대응 - HD현대그룹 내 건설기계 핵심 기업, 현대코퍼레이션과 협력해 현지 시장 진출 -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시장 대규모 수요 예상, 건설장비 및 엔진 공급 기대 |
HD현대건설기계 | -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에 건설장비 공급 및 현지 기술 인력 양성 협력 -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차관과 직접 협의, 재건 프로젝트 참여 기대 - 1,300조 원 규모 우크라이나 재건 시장에서 한국 대표 건설기계 기업으로 주목 |
범양건영 | - 모듈러 건축 기술: 자회사 '범양플로이' 통해 우크라이나 긴급 주거 수요 대응 - 정부 협약 연계: 한국-우크라이나 금융 지원 협약에 따른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 기대 - 국제 네트워크: 폴란드 재건 포럼 참여 등 현지 협력 체계 구축 |
1. 현대건설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현대건설은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핵심 인프라 복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4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된 '리빌드 우크라이나' 박람회에 유일한 한국 건설사로 참가해 송변전 시설 및 공항 확장 사업 등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력공사(Ukrenergo)와의 협약을 통해 약 1조 원 규모의 송변전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며, 키이우 보리스필 공항 확장 프로젝트에도 한국공항공사와 협력해 첨단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입니다.
회사 개요
현대건설은 1947년 정주영 창업주가 설립한 종합건설업체로,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입니다. 토목, 건축, 플랜트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하며 2021년 기준 국내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2위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 CDP 플래티넘 클럽에 입성하며 국내 건설업계 유일의 탄소 관리 최우수 기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주요 사업
- 건축/주택: 아파트(힐스테이트, 디에이치 브랜드), 공공건축물, 첨단빌딩(전체 매출 64.9%)
- 토목: 도로, 교량, 터널, 택지조성(매출 9%)
- 플랜트: 발전소, 가스처리시설, 원자력발전소(매출 21.6%)
- 해외사업: 중동, 동남아, 중남미 지역의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재무 정보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자산(십억원) | 19,637 | 20,912 | 23,714 |
매출액(십억원) | 12,372 | 13,067 | 14,201 |
영업이익(십억원) | 720 | 850 | 1,160 |
시장 지위
- 국내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2위(2021년 기준 11조 3,770억 원)
- 글로벌 플랜트 시장에서 20조 원 규모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수주
- 원전 건설 분야에서 신한울 3,4호기 주설비 공사 수주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국내: 조달청, 한국도로공사, 한국수력원자력
- 해외: 사우디 아람코, 우크라이나 전력공사, 뉴질랜드 카잉가 오라
- 그룹사 협력: 현대자동차, 현대엔지니어링, 한국공항공사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우크라이나: 보리스필 공항 확장, 송변전 시설 재건
- 중동: 사우디 아미랄·자푸라 가스처리시설(누적 수주액 20조 원)
- 국내: GTX-C 노선, 남양주 왕숙 국도 지하화 사업
- 기술: 친환경 건축(LEED 인증), 모듈러 건축, 스마트 건설관리시스템
향후 전망
2026년까지 영업이익 52% 성장 전망되며,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본격화로 동유럽 시장 진출 가속화 예상됩니다. 원전 사업 부문에서는 신한울 원자력발전소를 시작으로 추가 수주가 예상되며, 뉴질랜드와의 지속가능 주택 개발 협력을 통해 글로벌 친환경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해외 매출 비중 확대와 더불어 디지털 트윈 기술 도입으로 시공 효율성 제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 POSCO홀딩스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모듈러 건축 기술을 활용한 우크라이나 인프라 복구 프로젝트 참여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콜라이브 주와 협력해 철강 모듈러 제조 시설 건립 합의
- 전쟁 피해 지역에 학교, 병원, 주택 등 사회기반시설 신속 복구에 기여
- 현지 농업 인프라 운영 경험(미콜라이브 곡물 터미널 보유)을 재건 사업에 연계
회사 개요
- 1968년 설립된 글로벌 철강 기업에서 출발, 현재 지주사 체제로 전환
- 철강을 기반으로 배터리 소재, 수소 에너지, 인프라 건설 등 7대 핵심 사업 다각화
- 전 세계 52개국에 진출한 종합 재료·인프라 솔루션 그룹
- 2024년 기준 자회사 70여 개, 종업원 수 3만 2천여 명 보유
주요 사업
- 철강 사업: 세계 최초 핵심 제강 기술 보유, 연간 4,160만 톤 생산 능력
- 2차 전지 소재: 양극재·음극재·리튬·니켈 등 전방위 공급망 구축
- 친환경 에너지: 그레이/그린 수소 생산·유통 인프라 확장
- 모듈러 건설: 스마트 건설 기술 기반 신속 시공 솔루션 개발
- 농식품 사업: 곡물 유통에서 농업 가치사슬 전략적 확장
재무 정보
- 2024년 매출 72조 6,825억 원(전년 대비 8.3% 성장)
- 영업이익률 4.1%, 순이익률 2.7% 기록(2024년 3분기 기준)
- 2027년까지 매출 연평균 6~8% 성장, 투하자본수익률(ROIC) 9% 목표
- 주주환원 정책: 3년간 자사주 6% 소각 및 2.3조 원 현금배당 계획
시장 지위
- 14년 연속 '세계 최고 경쟁력 철강사' 선정(World Steel Dynamics)
- 글로벌 양극재 시장 점유율 20% 달성(2024년 기준)
- 수소 생산량 국내 1위, 2030년 50만 톤 생산 목표
- 모듈러 건설 분야 한국 표준기술 23종 보유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로벌 자동차 OEM: GM, 포드, 도요타 등과 전지 소재 공급 계약
- 에너지 기업: 호주 행콕프로스펙팅과 리튬 광산 공동 개발
- 국가 프로젝트: 우크라이나 정부·미국 DOE(에너지부)와 그린 수소 협력
- 자회사 협업: 포스코퓨처엠(배터리소재), 포스코E&C(건설), 포스코인터내셔널(무역)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우크라이나 재건: 미콜라이브 주 모듈러 공장 건설, 곡물 터미널 확장
- 스마트 건설: BIM 기반 3D 시뮬레이션, 드론 기반 자동 시공 관리 시스템
- 그린 수소: 부생수소 활용 연료전지 발전소(2026년 7만 톤 공급 예정)
- 배터리 재활용: 광양 1단계 재활용 공장 가동(연간 8,000톤 처리 능력)
향후 전망
- 2030년 기업가치 3배 성장 목표 아래 7대 핵심 사업 집중 투자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유럽 시장 교두보로 활용하는 전략 수립
- 친환경 철강 생산량 확대(2030년 수소환원제철 500만 톤 목표)
- 2차 전지 소재 분야 글로벌 톱티어 진입 및 수직계열화 완성 추진
- 디지털 트윈·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구축으로 생산 효율 30% 개선 예상
3. HD현대인프라코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우크라이나 인프라부와의 협력을 통해 재건 사업에 참여하며, 현지 건설기계 및 장비 수요 대응 역량 보유
- HD현대그룹 내 건설기계 분야 핵심 기업으로 현대코퍼레이션과 협력해 현지 시장 진출 가교 역할 수행
-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시장의 대규모 수요 예상에 따른 건설장비 및 엔진 공급 기대감 반영
회사 개요
- 前 현대중공업 건설장비사업부문 분사, 2017년 재상장
- HD현대그룹 계열사로 건설기계, 산업용 엔진, 방산장비 등 종합 기계기업
-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 100여 개국에 제품 수출
주요 사업
1. 건설기계 사업
- 굴착기, 휠로더, 덤프트럭 등 중장비 생산
- 디벨론(DEVELON) 브랜드로 북미·유럽 시장 공략
- 스마트 건설기계 기술(투명버킷,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2. 엔진 사업
- 건설장비·발전기·선박용 디젤엔진 제조
- 수소전소엔진 개발 및 청정수소 발전 시스템 국산화 추진
- 방산용 엔진(전차·장갑차) 생산
3. 신성장 사업
- 산업용 배터리팩 제조(전기건설기계·상용차용)
- 수소연료전지 발전기 상용화 연구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 4조 6,596억 원, 영업이익 4,183억 원
-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 3조 1,753억 원(전년比 -13.7%)
- 연구개발비 연간 1,293억 원 투자(2024년 9월 기준)
시장 지위
- 국내 건설기계 시장 점유율 1위
- 사우디아라비아 메가프로젝트 시장 주도(2024년 180대 공급)
- 글로벌 건설장비 시장 점유율 5위권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사우디 SAPAC, 네스마 앤 파트너스 컨트랙팅
- 두산밥캣(배터리팩 공급), 타타대우상용차
-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수소발전 협력)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리야드 링 로드 프로젝트(사우디 순환도로 건설)
- 500kW 수소엔진 발전기 국책사업 수주(140억 원 규모)
- K2 전차용 방산엔진 국산화 개발
- DEVELON 플릿 매니지먼트(IoT 기반 장비 관리 시스템)
향후 전망
- 2028년 목표: 매출 8조 1,000억 원, 영업이익 1조 130억 원
- 북미·중동 시장 수요 회복에 따른 건설기계 매출 증대 전망
- 수소엔진 사업 본격화(2025년 모빌리티용, 2026년 발전용 양산)
- 군산 1,168억 원 투자로 방산·초대형 엔진 생산체계 구축 예정
- 글로벌 ESG 트렌드에 대응한 전동화 장비 포트폴리오 확대
4. HD현대건설기계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에 건설장비 공급 및 현지 기술 인력 양성 협력
-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차관과 직접 협의를 진행하며 재건 프로젝트 참여 기대
- 1,300조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재건 시장에서 한국 대표 건설기계 기업으로 주목
회사 개요
- 1985년 현대중공업 건설장비 개발실에서 출발, 2017년 HD현대그룹 계열사로 독립
- 서울 종로구에 본사 소재, 전 세계 7개국에 생산기지 보유
- 굴착기, 휠로더, 스키드로더 등 건설장비 전문 생산 기업
주요 사업
- 건설장비 제조: 중장비 굴착기(ROBEX 시리즈), 휠로더, 백호로더
- 친환경 솔루션: 전기굴착기(1.9톤급), 수소굴착기(14톤급) 개발
- 글로벌 서비스: 장비 임대, 중고장비 리퍼비시, 운영자 교육 프로그램
재무 정보
- 2024년 매출액: 3조 4,381억 원(전년 대비 10.1% 감소)
- 2024년 영업이익: 1,904억 원(전년 대비 26% 감소)
- R&D 투자: 매년 매출의 5% 이상을 신기술 개발에 할당
시장 지위
- 국내 건설기계 시장 점유율 1위(굴착기 부문 45%)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링 로드' 프로젝트에 100대 장비 공급
- 인도/브라질 시장에서 연평균 15% 이상 성장률 기록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국내외 건설사: 현대건설, 삼성물산, SAPAC(사우디)
- 전략적 제휴: 독일 아틀라스(도로장비), CNHI(미니굴착기)
- 공급망 협력: 현대코어모션(유압장치), 현대커민스(엔진)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수소굴착기 개발: 2026년 상용화 목표로 베타버전 시제품 완성
- 스마트 건설솔루션: 무인 자동화 시스템 적용 장비 개발
- 글로벌 교육센터: 충북 음성에 테크니션 양성 프로그램 운영
향후 전망
- 2025년 중동 지역 메가프로젝트 수주 확대로 매출 회복 전망
- 2030년까지 전기·수소 장비 비중을 전체 매출의 30%로 확대 계획
- 우크라이나/중동 재건사업 참여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 예상
5. 범양건영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모듈러 건축 기술: 친환경 모듈러 시스템을 보유한 자회사 '범양플로이'를 통해 우크라이나 긴급 주거 수요 대응 가능
- 정부 협약 연계: 한국-우크라이나 21억 달러 규모 금융 지원 협약에 따른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 기대
- 국제 네트워크: 폴란드 재건 포럼 참여 등 선제적 현지 협력 체계 구축
회사 개요
- 설립일: 1958년 8월
- 상장일: 1988년 5월(유가증권시장)
- 본사: 부산광역시 동구
- 대표이사: 강병주
- 업종: 종합건설업(토목/건축/주택/모듈러)
주요 사업
- 토목사업: 도로/교량/철도/환경플랜트(공공하수처리시설 등)
- 건축사업: 공공시설/교육시설/민간임대주택
- 모듈러사업: 공장제작 방식의 친환경 주택(자회사 범양플로이 운영)
- 물류사업: 냉장창고 운영 및 물류시설 관리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1조 208억 원
- 2024년 3분기 누적매출: 8,500억 원(전년대비 1.1% 성장)
- 주요 이슈: 2024년 3분기 매출총이익 적자(-127억 원) 전환
시장 지위
- 2023년 건설능력평가액: 1,530억 원(대한건설협회 기준 전국 171위)
- 특화 분야: FED(미군기지) 시공 경험 보유, SOC 민간투자사업 전문성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국내: 부산광역시청, 한국토지주택공사(LH)
- 해외: 사우디 알-오자이미 그룹(모듈러 주택 협약), 우크라이나 UDP(산업단지 개발 협력)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우크라이나 프로젝트: 키이우 7.5만 평 규모 스마트 산업단지 건설
- 모듈러 기술: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 방식(공기 50% 단축), 정부 지정 7대 스마트 건설기술
- 특허: 토목건축공사업 면허(1968년 취득), 산업설비공사업 면허
향후 전망
- 신성장동력: 우크라이나 재건 수주 전망(9000억 달러 규모 시장)
- 사업확장: 사우디 모듈러 주택 프로젝트 본격화(2025년 현지 진출)
- 리스크 요인: 건설 경기 침체 지속 가능성, 원자재 가격 변동성
- 재무 개선: 2024년 말 기준 부채비율 202.8%에서 단기적 감축 노력 진행 중
이 글에 포함된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오직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