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TOP5, 시장 동향

by Sense.

목차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최근 소식

    1. 개발 현황 및 일정

    • 현대차그룹은 2025년 3월 경기도 의왕 연구소 내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 개소식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최초 공개할 예정입니다.
    • 2025년 4월부터 본격적인 시험 생산을 시작하며, 2025년 말까지 전고체 배터리 탑재 프로토타입 전기차 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대량 생산은 2030년부터 진행될 계획이며, 주행 거리·충전 속도·안전성 측면에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혁신적인 성능 개선이 예상됩니다.

    2. 관련 주식 동향

    •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기업(레이크머티리얼즈,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등)의 주가가 최근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전고체 배터리 필수 소재인 황화 리튬을 2024년부터 연간 120톤 규모로 양산 중이며, 이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선물 시장에서 확인되며, 전고체 배터리 테마주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3. 주요 소재 기업 현황

    기업명 주요 사업 내용 전고체 배터리 관련 기술
    레이크머티리얼즈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황화 리튬 개발 성공(2022년), 2024년 양산 체계 구축
    이수스페셜티케미컬 고분자 첨가제 고체 전해질용 특수 화합물 연구 진행 중
    한동화성 이차전지 소재 황계열 전해질 원료 개발 참여

    4. 향후 전망

    • 2025년 2월 기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기술 실현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 신뢰도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현대차의 파일럿 라인 성과가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발표될 경우, 관련 소재 기업들의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 단기적으로는 테마주 수혜 예상되나, 상용화 시점(2030년)까지 기술 장벽과 경쟁사 대응 등 변수 존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유일에너테크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 단독 수주: 2023년 말 경쟁 입찰을 통해 현대자동차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 전체를 턴키 방식으로 공급하게 되었습니다. 기술성 평가에서 경쟁사 대비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선정되었습니다.
    • 장기적 성장 동력 확보: 현대차그룹이 2030년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추진 중인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추가 수주 및 매출 증대가 기대됩니다.
    • 기술 개발 투자: 전고체 배터리 분야의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며 미래 시장 대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 설립년도: 2012년
    • 대표이사: 정연길
    • 본사 소재지: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2산단로 31-10
    • 주요 사업분야: 전기차/ESS용 2차전지 제조 장비, 수소연료전지/태양광 장비,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
    • 글로벌 네트워크: 중국, 헝가리, 미국 현지법인 운영

    주요 사업

    • 2차전지 장비 제조:
      • 노칭(Notching) 장비: 롤 형태의 극판을 고속 정밀 절삭(최대 300ppm)
      • 스태킹(Stacking) 장비: 양극/음극 전극 적층 공정(0.5초 이하 고속 처리)
      • 탭 웰딩(Tab Welding) 장비: 초음파/레이저 용접 기술 적용
    • 전고체 배터리 장비 개발: 현대차 파일럿 라인 공급을 시작으로 차세대 배터리 장비 시장 선점
    •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재영텍과 협력해 공정 자동화 기술 개발 진행

    재무 정보

    • 주요 매출구성: 2차전지 장비(90.5%), 기타(9.5%)
    • 수주 현황: SK온, 삼성SDI, CATL 등 글로벌 셀업체 다변화
    • 생산능력: 연간 3,000억원 규모의 대량 생산 체계 구축

    시장 지위

    • 노칭 장비 글로벌 리더: 세계 최초 장폭형 300ppm 고속 장비 개발
    • Z스태킹 기술 독보적: 업계 최소 적층 오차율 구현
    • 고객사 다변화 전략: 국내외 주요 배터리 기업(프랑스, 노르웨이 등)으로 수주 확대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국내: SK온, 삼성SDI, 현대자동차
    • 해외: 중국 CATL, 프랑스 배터리 셀 기업, 노르웨이 모로우(Morrow)
    • 협력사: 재영텍(폐배터리 리사이클링), GM(미국 현지 협력)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구축: 현대차 의왕 연구소 내 시험 생산 설비 공급
    • 리튬인산철(LFP) 각형 배터리 장비 개발: 초고속 적층 기술(0.5초 이하) 적용
    • 인라인(In-Line) 장비 개발: 노칭-스태킹 공정 통합 자동화 시스템

    향후 전망

    • 전고체 배터리 시장 성장: 2027년 4억 8,250만 달러 규모 예상에 따른 수혜 기대
    • 글로벌 공장 확장: 유럽/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생산 기반 강화
    • 친환경 에너지 사업 다각화: 수소연료전지/태양광 장비 분야로 사업 영역 확대
    • R&D 투자 확대: 연간 매출의 7% 이상을 연구 개발에 집중할 계획

    2. 이수스페셜티케미컬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황화리튬(Li₂S) 양산 기술 보유로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공급
    • 현대자동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 단독 수주(2023년)
    • 국내 최초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개발 협력사 선정
    • 에코프로비엠·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등 주요 배터리 기업과 전략적 협약 체결

    회사 개요

    • 1969년 설립된 이수그룹 계열의 정밀화학 전문 기업
    • 2023년 5월 이수화학에서 인적분할되어 독립 법인화
    • 서울 서초구 본사 및 온산·구미 생산기지 보유
    • 코스피 상장 기업(종목번호: 457190)

    주요 사업

    • Li₂S(황화리튬) :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핵심 원료
    • TDM : 합성수지 조정제(세계 3대 생산기업)
    • D-SOL : 금속가공용 용제 및 배터리 재활용 용매
    • IPA : 페인트·인쇄잉크·소독제 원료
    • NOM/NDM : 타이어 산화방지제 및 인조대리석 소재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 1,175억원
    • 2024년 1분기 매출액 : 522억원
    • 연구개발 투자비율 : 연간 매출 대비 7.8%
    • 주요 성장동력 : Li₂S 양산 확대 및 신규 수주 계약

    시장 지위

    • 국내 유일 Li₂S 양산 체계 구축 기업
    • 전고체 배터리 소재 분야 시장 선점 기업
    • 글로벌 합성수지 조정제 시장 점유율 18%(3위)
    • 이차전지 재활용 용매 시장 독점적 공급망 보유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현대자동차그룹 : 전고체 배터리 장비 공급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 고체전해질 공동개발
    • 동화일렉트로라이트 : 전해액 첨가제 협력
    • 미국 솔리드파워 : 해외 기술 교류
    • 삼성SDI·LG에너지솔루션 : 소재 검증 진행 중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Li₂S 데모플랜트 증설 완료(2024년 9월)
    •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표준화 기술 개발
    • 폐배터리 재활용 희석제 상용화 프로젝트
    • 초고순도 황화리튬 정제 기술 특허 보유(국내 12건)
    • 이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신규 개발

    향후 전망

    •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따른 Li₂S 수요 폭발 전망
    • 연간 300억원 규모의 황화리튬 추가 양산 설비 투자 예정
    • 북미·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협력 체결 추진
    • 2026년까지 매출 2,500억원 달성 목표
    • 친환경 소재 개발 확대로 ESG 경영체계 강화 예정

    3. 레이크머티리얼즈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황화리튬(Li₂S) 생산 기술 보유
    • 2024년 2월부터 연간 120톤 규모 양산 체계 구축 완료
    • 현대차그룹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구축에 협력사로 참여
    • 고체 전해질 원료 공급망 확보를 통한 배터리 내재화 전략 지원

    회사 개요

    • 2010년 설립된 유기금속 화학소재 전문 기업
    • 본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산단길 22-144
    • 주요 계열사: 레이크테크놀로지(70.6% 지분 보유)
    • 코스닥 상장(종목코드: 281740)

    주요 사업

    반도체 소재

    • High-K 전구체, 실리콘 전구체 등 첨단 반도체용 소재 개발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글로벌 파운드리 기업 공급

    태양광 소재

    • PERC/TOPCon 태양전지용 TMA(트리메틸알루미늄) 생산
    • 중국 시장 중심으로 연간 750톤 생산능력 확보

    석유화학 촉매

    • 메탈로센 컴파운드·MAO 조촉매·담지촉매 풀패키지 공급
    • 2025년 엑손모빌·사빅(SABIC)과 본격 협력 예정

    전고체 배터리 소재

    •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를 통한 황화리튬 개발
    • 2027년 삼성SDI·현대차 양산 계획에 대비 기술 검증 진행

    재무 정보

    • 2024년 예상 매출액: 1,680억 원(전년 대비 +21.1%)
    • 2024년 예상 영업이익: 315억 원(전년 대비 +42.1%)
    •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 939억 원, 영업이익 219억 원

    시장 지위

    • 국내 유일 TMA(트리메틸알루미늄) 국산화 성공 기업
    • 글로벌 LED 전구체 시장 점유율 1위
    • 반도체 High-K 전구체 분야 국내 최다 공급처
    •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생산능력 국내 최대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반도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대만 TSMC
    • 배터리: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솔리드파워
    • 자동차: 현대차그룹, 제너럴모터스(GM)
    • 석유화학: 엑손모빌, 사빅(SABIC), 롯데케미칼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차세대 ALD 장비 개발

    • Batch Type 원자층증착 장비 상용화(2024년)
    • 2030년 예상 1조 6,290억 원 규모 시장 진출

    글로벌 생산기지 확장

    • 미국 텍사스·캘리포니아, 중국 수저우, 대만 주베이 법인 운영
    • 2025년 사우디아라비아 현지공장 준공 예정

    신소재 개발 로드맵

    • 2nm 이하 공정용 하프늄 전구체 양산(2025년 상반기)
    • Argyrodite 계열 고체 전해질 상용화 연구 진행

    향후 전망

    • 반도체 부문 신규 High-K 소재 공급 확대로 2025년 매출 1,033억 원 전망
    • 엑손모빌 MAO 촉매 공급 본격화로 석유화학 부문 40% 성장 예상
    •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시작에 따른 황화리튬 수요 폭발 대비
    • 미국·중동 시장 진출을 통한 글로벌 매출 비중 45% 확대 목표

    4. 한농화성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고분자 전해질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책과제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 개발'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 황화리튬(Li₂S) 생산 기술을 보유하여 전고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LG화학, 한국화학연구원 등과 협력해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며, 현대차의 2030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과 연계된 수혜가 기대됩니다.

    회사 개요

    1976년 설립된 한농화성은 계면활성제, 글리콜에테르, 특수산업용 유화제 등을 생산하는 정밀화학 기업입니다. 본사는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하며, 농업용 화학 제품에서 출발해 반도체, 전자,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주요 사업

    • 글리콜에테르: 반도체 세정제, 도료, 잉크 등 산업용 용제(매출 41.6%)
    • 계면활성제: 세제, 섬유, 화장품 원료(매출 47.8%)
    • 특수산업용 유화제: 농약, 금속 가공유 등
    • 전고체 배터리 소재: 고분자 전해질, 황화리튬 개발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2,124억 원
    • 2023년 영업이익: -24억 원
    • 2024년 3분기 당기순이익: -13억 원
    • 부채비율: 약 30% (안정적 재무 구조)
    • 2023년 9월 기준 PER 22.65배, PBR 1.21배

    시장 지위

    • 국내 글리콜에테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계면활성제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로 차세대 에너지 시장에서 입지 강화 중입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로벌 기업: 독일 바스프(합작사 '바스프 한농화성 솔루션스' 설립)
    • 국내 기업: LG화학, 롯데케미칼, 켐트로닉스
    • 고객군: 400개 이상의 거래처 보유(반도체, 화장품, 정유 등)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개발: 가소제, 가교제 기술 보유
    • 황화리튬 데모플랜트 증설: 대량 생산 기반 확보
    • 국가 R&D 과제 주관: 2021년부터 한국화학연구원, LG화학과 공동 개발
    • 화장품 신원료 중국 등록: NMPA 승인으로 해외 시장 진출

    향후 전망

    •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따른 소재 수요 증가로 2025년 이후 매출 성장 전망됩니다.
    • 화장품 원료의 중국 시장 진출로 신규 수익원 창출이 기대됩니다.
    • 반도체 산업 회복으로 글리콜에테르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글로벌 무역 분쟁이 리스크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5. 씨아이에스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선정 이유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기술 개발 및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과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였습니다. 현대차그룹과 삼성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논의에 발맞춰 유럽 및 북미 시장을 겨냥한 대형 전지용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전극 공정 장비와 고체전해질 생산 기술을 결합한 통합 솔루션 제공자로 부상하였습니다.

    회사 개요

    2002년 설립된 씨아이에스는 이차전지 전극 공정 장비 분야의 국내 대표 기업입니다. 대구광역시에 본사를 두고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전고체 배터리 소재 및 장비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 중입니다. 2024년 자회사 씨아이솔리드를 흡수합병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였습니다.

    주요 사업

    • 전극 공정 장비 : 코터(Coater), 캘린더(Roll Press), 슬리터(Slitter) 등 리튬이온전지 제조 핵심 장비 생산
    • 전고체 배터리 소재 :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대량 양산 기술 개발 및 관련 장비 공급
    • 신사업 확장 : 수소연료전지 제조 장비, 반도체·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분야 진출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 : 3,102억 원(전년 대비 95% 성장)
    • 2024년 9월 누적 매출 : 3,780억 원
    • 영업이익률 : 2024년 상반기 기준 19%, 전고체 배터리 관련 수주 증가로 향후 추가 성장 전망

    시장 지위

    국내 전극 공정 장비 시장 점유율 45% 이상을 차지하며, 북미·유럽 진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 중입니다. 2025년 기준 코스닥 시가총액 105위(5,478억 원)의 중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국내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 해외 : 얼티엄셀(미국), 노스볼트(스웨덴), 브리티시볼트(영국)
    • 전략적 협력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책 과제 수행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전고체 배터리 : 50cm²급 전고체전지셀 제조장비 개발, 고이온전도체막 기술 상용화
    • 혁신 장비 : 레이저 건조 기술 접목 하이브리드 코터(생산 속도 2배 향상, 전력비 50% 절감)
    • 글로벌 계약 : 유럽 자동차 OEM 및 북미 에너지 기업과 NDA 체결(고체전해질 공급)

    향후 전망

    2025년까지 6공장 가동을 통해 연간 7,000억 원 규모의 생산 체계를 완성할 예정입니다. 전고체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연간 수십 톤 규모의 양산 체계를 구축하며, 2026년 조 단위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수소 분야 사업 다각화와 디지털 트윈 기반 예지보전 시스템 도입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추진 중입니다.

     

    다른 관련주 보러가기

     

    이 글에 포함된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오직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