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관련주 테마 종류: AI 뜻과 7가지 AI 테마

국내 주식 by Sense. 2024. 2. 19.

목차

    AI는 인공지능의 약자로,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합니다. AI 관련주는 AI 기술을 개발하거나 활용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말합니다. AI에는 여러가지 테마가 있습니다. 이를 소개합니다.

    AI(인공지능)란?

    AI‘Artificial Intellingence’의 약자로,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합니다.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AI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또한 Chat gptAI의 잠재력을 보여주며 더욱 AI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AI 투자는 단순한 모멘텀 플레이가 아니라 ‘산업 지형 변화’에 대한 장기 베팅이기도 합니다.
    국내 증시는 메모리 초호황, 생성형 AI 플랫폼 경쟁, 그리고 로봇·자율주행 실전 상용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AI’란 이름 아래 여러 갈래로 갈라졌습니다. 오늘은 ‘AI’라는 큰 틀 안에서 한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종목(혹은 상장을 앞둔 기업)들을 7가지 테마로 나눠 정리해 봅니다.

    1. AI 반도체 & HBM 생태계

    대표 키워드 주요 종목(티커) 체크 포인트
    고대역폭 메모리(HBM), 패키징·장비 SK하이닉스(000660), 삼성전자(005930), DB하이텍(000990), 한미반도체(042700) 등 SK하이닉스는 2028년까지 103조 원 투자 계획으로 HBM 증설 드라이브

    관전 포인트

    • 엔비디아·AMD로 대표되는 AI GPU 수요가 HBM 시장을 ‘슈퍼사이클’로 끌어올림.
    • 패키징(한미반도체)·세정·소재 등 후공정 장비주도 동반 수혜 가능.

    AI 반도체 관련주 TOP5 바로가기

    2. 생성형 AI 플랫폼·서비스

    세부 분야 주요 종목 특징
    국산 LLM & B2B 네이버(035420) HyperCLOVA X 공개, 오픈소스 모델도 상반기 중 순차 출시
    버티컬 플랫폼 카카오(035720), NHN(181710) 쇼핑·콘텐츠·핀테크에 생성형 AI 접목 확대
    상장 신예 LG CNS(399990) 2월 IPO 이후 ‘엔터프라이즈 AI’ 원스톱 서비스 강조

    생성형 AI 관련주 TOP5 바로가기

    3. AI 클라우드·데이터센터 인프라

    • KT(030200), SK텔레콤(017670), Naver Cloud가 초거대 모델 학습용 GPU 팟·국가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선점 중.
    • MWC 2024에서 대형 L4 클라우드 AI 스택과 UAM 결합 서비스를 공개.

    AI 데이터센터 관련주 TOP5 바로가기

    4. 로봇 & 코봇(협동로봇)

    구분 주요 종목 메모
    ① 산업용·휴머노이드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삼성전자가 지분 30% 이상 확보, 미래로봇실 신설
    ② 협동·서비스 로봇 두산로보틱스(453580), 뉴로메카(348340) 글로벌 자동화 수주 + 미국·중국 현지 생산

    로봇은 AI 비전·모빌리티·제어 SW를 모두 요구하기 때문에 ‘종합 AI 하드웨어’로 간주됩니다.

    5. 자율주행·모빌리티 AI

    • 현대차(005380), 현대모비스(012330), 만도(204320) 등이 OTA(무선 SW 업데이트)·레벨3 자율주행 양산 로드맵 발표.
    • 그룹 차원의 2025년 R&D 투자만 11.5조 원으로 역대 최대.
    • 해외 로보택시 합작법인과 협업도 확대.

    6. 보안·영상 AI(Edge AI Camera)

    주요 종목 핵심 모멘텀
    한화비전(012450) 4-채널 AI PTRZ 멀티 카메라 출시, AI 앱스토어 방식으로 엣지 분석 생태계 구축
    픽셀플러스(087600) 등 CMOS 이미지센서 국산화 수혜

    7. AI 응용 SW & 빅데이터

    • 솔트룩스(331370), 딥노이드(315640), 알체라(347860)
    • 특화 LLM·의료 AI·안면·화재 감지 등 ‘데이터 라벨링 → 모델 개발 → SaaS’ 전 과정을 내재화.

    테마별 투자 가이드라인

    1. 밸류체인 혹은 모빌리티 같은 ‘실물 연계형’ 테마CapEx 사이클을,
    2. 플랫폼·SW형 테마MAU(사용자 지표)·구독 매출 증감률을 보세요.
    3. 로봇·자율주행은 규제·인증 로드맵이 실적 레버리지보다 먼저 작동합니다.
    4. 수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자동차는 미·중 통상 리스크도 함께 체크하세요.

    한눈에 보는 ‘AI 테마 vs. 핵심 트리거’

    테마 2025년 핵심 트리거
    AI 반도체 HBM3E 본격 양산, 美 수출 규제 변수
    플랫폼·서비스 국산 LLM 오픈소스 공개, 엔터프라이즈 도입 확대
    클라우드·데이터센터 AI 데이터센터 국책 지원, 전력·냉각 설비 투자
    로봇 삼성·현대·LG의 M&A·지분 투자 러시
    자율주행 레벨3 안전법 개정, 로보택시 실증 확대
    보안 AI 엣지 AI 카메라 수주,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응용 SW 의료·금융 등 산업별 AI SaaS 고성장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