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군사용 드론 관련주 5가지 완벽 정리, 시장 동향

by Sense.

목차

    군사용 드론 시장 동향

    최근 군사용 드론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드론의 전략적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군용 드론 개발과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LIG넥스원은 미국 드론 기업 스카이디오와 협력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군용 드론 ‘큐브콥터’와 항공엔진 사업을 통해 방산 수주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드론 스타트업들이 방위산업에 진출하면서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세계 군용 드론 시장은 2030년까지 35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흐름을 주목하며 군사용 드론 관련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기업명 군사용 드론 관련주 선정 이유
    한국항공우주산업 - 정찰용 드론, 스마트 드론 시스템 개발 역량 보유
    - 군용 드론 '송골매' 개발 및 성능 개량 사업 수행
    - 저피탐 무인기 기술 개발
    - 국내 최다 무인기 관련 특허 보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기존 방산 기술력, 인프라 기반 군사용 드론 개발 주력
    - 계열사 협력, UAV 사업 전략 수립
    - 군사용 드론 시장 선점 위한 TF 운영
    - 화생방 정찰차용 드론 공동 개발 협약 체결
    LIG넥스원 - 스카이디오와 협력, 자율 드론 플랫폼(X10D) 개발
    - 인도-태평양 지역 군사 작전 최적화 드론 솔루션 제공
    - 정밀 전자시스템 기술 기반 드론 정찰/공격 능력 강화
    현대로템 - 국내 방산업체 중 최초 군용 드론 분야 진출
    - 지상 전투 차량 연동 감시 드론 개발
    - 수소연료전지 기반 장시간 체공 드론 기술 보유
    - 무인전장 체계 구축에 핵심 역할
    한화시스템 - 국방과학연구소와 수직이착륙 무인기 개발 계약 체결
    - 레이더, 전자광학 장비, 지휘통제체계 등 드론 운영 필수 기술 통합
    - 저고도 드론 방어시스템 개발로 군 주요 시설 보호 역량 강화

    1.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군사용 드론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정찰용 드론 및 스마트 드론 시스템 개발 역량 보유
    • 군용 드론 '송골매' 개발 및 성능 개량 사업 수행 경험
    • 저피탐 무인기 기술 개발 및 시험비행 완료
    • 브라질과의 대형 농업용 드론 공동개발 프로젝트 주관
    • 국내 최다 무인기 관련 특허 보유(44건, 세계 5위 수준)

    회사 개요

    • 1999년 10월 설립된 대한민국 대표 항공우주 체계종합업체
    • 본사: 경상남도 사천시
    • 주요 제품: KT-1 기본훈련기, T-50 고등훈련기, 수리온 헬기, KF-21 전투기
    • 2023년 기준 자산총계 71조원, 직원 수 5,000여 명

    주요 사업

    군사 분야

    • 전투기/훈련기 개발(KF-21, FA-50, TA-50)
    • 헬기 개발(수리온, LAH/LCH)
    • 군단급 정찰무인기 송골매 개발 및 양산

    민간 분야

    • 보잉, 에어버스 항공기 부품 공급
    • 나라온 소형항공기 개발
    • 농업용 대형드론 개발

    우주 분야

    • 다목적실용위성, 정지궤도위성 개발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조립

    재무 정보

    구분 2023년 실적 2024년 2분기
    매출액 3.8조원(+37% YoY) 8,918억원(+21.6% YoY)
    영업이익 2,475억원(+75% YoY) 743억원(+785.7% YoY)
    영업이익률 6.5% 8.3%
    수주잔고 23.9조원 24.6조원

    시장 지위

    • 국내 유일 항공기 완제품 제조사
    • 글로벌 훈련기 시장 점유율 1위(T-50 계열)
    • 세계 7위 방산업체(2023 Defense News 기준)
    • 항공기 수출 국가 13개국(필리핀, 이라크, 말레이시아 등)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록히드 마틴(T-50 공동개발)
    • 보잉, 에어버스(부품 납품)
    • 브라질 항공우주청(드론 공동개발)
    • 국방부, 방위사업청
    • LIG넥스원(항전시스템 협력)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진행 중 프로젝트

    • KF-21 보라매 4.5세대 전투기 개발(18조원 규모)
    • 차기 상륙기동헬기 PBL 유지보수
    • 큐브콥터 드론 시스템 개발
    • 스텔스 무인전투기(UCAV) 선행연구

    핵심 기술

    • 무인기 지상통제시스템 국산화
    • 무인기용 연료전지 동력장치
    • 유인기 무인화 변환 기술
    • 초음속 항공기 설계 기술

    향후 전망

    • 2025년 KF-21 초도 양산 개시 예정
    • FA-50 필리핀 추가 수출 협상 진행 중
    • 2026년까지 80대 군용드론 추가 양산 계획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 진출 검토
    • 우주발사체 상용화를 통한 민간시장 개척
    • AI 기반 드론 SW 플랫폼 개발 가속화

    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군사용 드론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기존 방산 분야의 기술력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군사용 드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한화시스템·한화첨단소재 등 계열사와 협력해 무인항공기(UAV) 사업 전략을 수립하며, 군사용 드론 시장 선점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화생방 정찰차용 드론 공동 개발 협약 체결 등 실제 군사 적용 사례를 확보했습니다.

    회사 개요

    1977년 삼성정밀공업으로 창립된 항공·방산 전문 기업입니다. 2018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항공우주·방산·우주발사체 분야에서 글로벌 사업을 진행합니다. 본사는 창원시에 위치하며, 국내 유일의 가스터빈 엔진 제조사로 항공기·우주발사체 분야 핵심 부품을 생산합니다.

    주요 사업

    • 항공우주: 가스터빈 엔진, 항공기 부품, 우주발사체 엔진
    • 방산: K9 자주포, 레이저 대공무기, 군용 드론 시스템
    • 전기추진체계: UAM용 수소연료전지, 잠수함용 리튬전지
    • 우주개발: 누리호 엔진 제작, 위성체계 개발

    재무 정보

    2023년 3분기 기준 매출액 19,815억 원, 영업이익 1,14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10월 주가는 381,500원으로 6개월간 65% 상승했으며, 증권사 목표주가 평균은 401,200원입니다.

    시장 지위

    국내 방산 수출 1위 기업으로 K9 자주포·천궁 미사일 등 주력 제품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높습니다. 세계 군용 드론 시장에서 2030년 356억 달러 규모 성장 전망에 대비한 기술 확보 중입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록히드마틴(미국), BAE 시스템스(영국) 등 글로벌 방산기업
    • Pratt & Whitney, Rolls-Royce 등 항공엔진 업체
    • 폴란드·호주·중동 국가군 등 해외 수출 고객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누리호 엔진 개발(한국형 발사체)
    • 레이저 대공무기 Block-I 체계
    • UAM용 수소연료전지 파워트레인
    • 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MUM-T)

    향후 전망

    군용 드론 시장 성장에 대응한 기술 고도화와 유럽 현지생산라인 구축을 추진합니다. 6세대 전투기 엔진 개발과 우주 탐사 분야로 사업 다각화를 계획 중이며, 2030년까지 방산·우주 분야 글로벌 톱5 기업 도약을 목표로 합니다.

    3. LIG넥스원

    군사용 드론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미국 최대 드론 기업 스카이디오와 협력하여 자율 드론 플랫폼(X10D) 개발 및 통합 생산 추진
    • 인도-태평양 지역 군사 작전 최적화 드론 솔루션 제공으로 신시장 개척
    • 정밀 전자시스템 기술 기반 드론 정찰/공격 능력 강화 및 다목적 활용 가능성 확보

    회사 개요

    • 설립: 1998년 2월 25일
    • 본사: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207
    • 대표: 신익현
    • 사업분야: 방산 제품 개발/생산(유도무기, 레이다, 전자전, 드론 등)
    • 종업원: 4,744명(2024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 유도무기: 천궁-Ⅱ 지대공 미사일, 현무 탄도탄, 해성 함대함 미사일
    • 항공전자·드론: 소형 정찰/타격 복합형 드론, 수송용 멀티콥터 드론
    • 전자전: KF-21 전자전 장비, 레이다 교란 시스템
    • 무인화 시스템: 무인수상정, 사족보행로봇(Vision 60)
    • C4I 시스템: 군 지휘통제체계, 위성통신 장비

    재무 정보

    • R&D 투자: 연간 693억 원(2023년 기준, 매출 대비 3%)
    • 글로벌 수출 실적: 사우디·UAE 등 중동지역 천궁-Ⅱ 수출(3조 5천억 원 규모)
    • 생산 인프라: 자체 제조시설 보유, 드론 대량 생산 체계 구축

    시장 지위

    • 국내 방산산업 1위 기업(유도무기 분야)
    • 글로벌 방산시장 진출: 중동·유럽·북미 시장 공략 확대
    • 미국 Ghost Robotics사 지분 60% 인수를 통한 4족 보행로봇 시장 진입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국내외 방위기관: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UAE·사우디 국방부
    • 기술 협력사: 스카이디오(미국), Ghost Robotics(미국), DSTA(싱가포르)
    • 군납 실적: 한국군 함정 80% 이상에 레이다/사격통제장비 공급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X10D 드론 플랫폼: AI 기반 자율비행, LIG 정밀 전자시스템 통합
    • 천궁-II 수출: 사우디·UAE 등 중동국가에 350억 달러 규모 계약
    • 이집트 EDEX 2023: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한 방산 전시회 참가
    • 루마니아 공중방어체계: 5.4조 원 규모 차기 중거리 방어시스템 입찰 참여

    향후 전망

    • 2026년까지 드론 방호시스템(안티드론) 상용화 목표
    • AI/빅데이터 기술 접목한 지능형 무인전투체계 개발 가속화
    • 인도-태평양 지역 군용 드론 시장 점유율 15% 달성 전략
    • 연간 방산수출 10조 원 시대 주도 기업으로 성장 예상

    4. 현대로템

    군사용 드론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현대로템은 국내 방산업체 중 가장 먼저 군용 드론 분야에 진출한 기업으로 첨단 무인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지상 전투 차량과 연동한 감시 드론을 비롯해 수소연료전지 기반 장시간 체공이 가능한 드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요성이 강조된 무인전장 체계 구축에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현대로템은 1977년 설립된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 철도차량, 방산 제품, 플랜트 설비를 주요 사업 영역으로 삼고 있습니다. 본사는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하며 K2 전차 개발로 국내 방산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43.36%의 지분을 현대자동차가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방산 사업: K계열 전차, 차륜형장갑차, 무인차량(HR-셰르파), 대드론체계(ADS) 개발
    • 철도 사업: KTX-산천/이음 등 고속철도, 도시철도 차량, 수소전기트램 개발
    • 플랜트 사업: 자동차 생산설비, 수소추출기/충전소 인프라 구축
    • 무인시스템: 수소연료전지 드론, 다목적 무인정찰차량, 로봇기술 연구

    시장 지위

    국내 지상무기시장에서 두산DST, 한화테크윈과 함께 3대 방산업체로 꼽히며 전차 개발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철도차량 분야에서는 국내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유지하며 38개국에 수출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HR-셰르파: 4세대 무인차량으로 원격무장장치(RCWS) 탑재 및 450km 주행 가능
    • 수소드론: 기아와 공동개발한 군용 드론으로 120km/h 속도와 8시간 연속 비행 가능
    • 차세대 전차 VR 시스템: 2030년대 양산 목표의 전차-드론 연동 가상현실 훈련체계
    • 디펜스 드론: 크랩워크 기동이 가능한 6륜 구동 방식의 다목적 무인정찰 플랫폼

    향후 전망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방산 분야의 융합을 통해 무인전장 체계 주도권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 드론 상용화를 통해 2026년까지 군용 드론 시장 30% 점유를 목표로 하며, AI 기반 자율주행 전차와 드론 연동 시스템 개발로 글로벌 방산시장 진출을 준비 중입니다.

    5. 한화시스템

    군사용 드론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군용 드론 시스템 개발 실적: 2023년 12월 국방과학연구소(ADD)와 1,433억 원 규모의 수직이착륙 무인기 개발 계약 체결
    • 종합 방산 솔루션 보유: 레이더, 전자광학 장비, 지휘통제체계 등 드론 운영에 필수적인 기술 통합 능력 확보
    • 대북 대응 시스템 구축: 30억 원 규모 저고도 드론 방어시스템 개발을 통해 군 주요 시설 보호 역량 강화

    회사 개요

    • 설립연도: 1977년(전신: 삼성항공)
    • 사업영역: 방산전자(육해공우주사이버), ICT 솔루션
    • 특징: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더십 구축
    • 매출규모: 2023년 기준 24,530억 원

    주요 사업

    1. 방산 부문
      • 감시정찰 체계(레이더/EO-IR 장비)
      • 지휘통제통신체계(C4I)
      • 항공전자(우주용 전자광학 장비)
      • 함정전투체계(해군 함정 통합관제시스템)
    2. ICT 부문
      • 클라우드/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인프라 개발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24,530억 원(방산 68%, ICT 32%)
    • 2024년 연구개발 투자: 전년 대비 10% 증액(1,200억 원 규모)
    • 수출 비중: 전체 매출의 35%(중동/동남아 시장 중심)

    시장 지위

    • 국내 방산전자 분야 시장점유율 1위(한국국방연구원 2024)
    • 글로벌 다층방공체계(M-SAM) 시장 점유율 12%(2024 기준)
    • 세계 3대 AESA 레이더 개발사(미 레이시온, 이스라엘 IAI와 협력체계)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군사기관: 국방부, 해군본부, ADD
    • 글로벌 협력사: 오스트리아 셔벨(무인기), UAE EDGE Group(레이더)
    • 기술제휴: DJI(민수용 드론), 오라클(클라우드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1. 수직이착륙 군용 드론(VTOL UAV)
      • 함정 탑재 가능한 콤팩트 설계
      • 합성개구레이더(SAR)/적외선 감시장비 탑재
      • 2026년 양산 목표
    2. 스웜 드론 대응 시스템
      • AI 기반 드론 군집 식별 알고리즘
      • 전자방해(EJAMMER) 및 물리적 요격 통합체계
      • 2024년 6월 실전배치 완료
    3. 차세대 전술통신망(TICN)
      • 드론-지상군 연동 실시간 데이터링크
      • 양자암호통신 호환 설계

    향후 전망

    • 2025~2027 중기계획: 무인전투체계(RCV) 표준플랫폼 공급자로 도약
    • 해외시장 진출: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연간 5,000억 원 규모 드론 방어시스템 수출 목표
    • 신기술 융합: 6G 통신 기반 드론 제어체계 상용화(2026년 상반기)
    • UAM 생태계 구축: 2027년까지 도심드론 물류망 15개 노드 구축 예정

    다른 관련주 보러가기

     

    이 글에 포함된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오직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