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5가지 완벽 정리, 시장 동향

by Sense.

목차

    전고체 배터리 시장 동향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 급부상하며 관련 업계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화재 위험이 적은 전고체 배터리는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배터리 3사를 비롯해 소재·장비 기업들도 기술 개발과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 프로토타입을 완성차 업체에 제출해 평가를 진행 중이며, LG에너지솔루션은 2026년 고분자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앞두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 또한 파일럿 라인을 가동하며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핵심 소재 분야에서는 레이크머티리얼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한농화성 등이 연구 성과를 내고 있으며, 전극 및 조립 공정 관련 장비 업체들도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특히 황화물계 소재와 장비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에 높은 기대를 걸고 있으며, 전고체 배터리 시장의 확장 속도가 산업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요소로 평가됩니다.

    기업명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선정 이유
    이수화학 -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인 황화리튬(Li₂S) 생산 기술 보유
    - 황화수소(H₂S) 핸들링 기술 활용, 공정 안정화
    - 산업부 주관 국책과제 참여 (현대차·삼성SDI 협력)
    삼성SDI - 2027년 세계 최초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
    - 900Wh/L의 높은 에너지 밀도 구현
    - 고체 전해질, 리튬금속 음극 기술 독자 개발
    동화기업 - 황화물계 전해질 개발 기술 보유
    - 2019년 산업부 주관 전고체 배터리 전해액 연구개발 과제 선정
    - 동화일렉트로라이트와 협업, 전해액 첨가제 및 고체전해질 개발
    미래컴퍼니 - 산업부 주관 '리튬 기반 차세대 배터리 성능고도화 및 제조기술개발사업' 과제 선정
    - 삼성SDI와 전고체 배터리 양산 협력 (2027년 양산 목표)
    테이팩스 - 접착형 집전체용 열압착 부착형 접착소재 개발, 고체전해질 관련 특허
    - LG화학·ETRI와 '중대형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 국책 프로젝트 참여

    1. 이수화학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인 황화리튬(Li₂S) 생산 기술 보유
    • 국내 유일 황화수소(H₂S) 핸들링 기술을 활용한 전고체 배터리 공정 안정화 역량
    •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국책과제 참여(현대차·삼성SDI 협력)
    • 2027년 삼성SDI, 2030년 LG에너지솔루션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에 대응한 소재 공급 기대

    회사 개요

    • 1969년 설립된 이수그룹의 모기업(코스피 상장)
    • 본사: 서울 서초구, 생산기지: 울산·온산
    • 석유화학 및 정밀화학 분야에서 50년 이상의 기술 축적
    • 2022년 11월 석유화학/정밀화학 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 완료

    주요 사업

    1. 석유화학 사업부문

    • 국내 유일 LAB(합성세제 원료)NP(정유부산물) 생산
    • 그린바이오·수소 사업 병행

    2. 정밀화학 사업부문(이수스페셜티케미컬)

    • 고분자 합성수지 조정제 TDM(세계 3대 메이커)
    • 전고체배터리용 황화리튬 개발 및 양산
    • IPA(이소프로판올), NMP(N-메틸피롤리돈) 등 특수용제 생산

    재무 정보

    • 2022년 분할 후 정밀화학 부문 연간 매출 1,907억원(전년 대비 30.5% 성장)
    • 2025년 기준 연구개발 투자비율: 연매출의 4% 이상
    • 글로벌 생산체계: 중국·멕시코·베트남 사무소 운영

    시장 지위

    • 국내 합성세제 원료 시장 점유율 1위
    • 전고체 배터리 소재 분야 신규 진출 기업
    • TDM 제품 글로벌 시장점유율 15%(세계 3위)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국내: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현대자동차
    • 해외: 살림그룹(인도네시아), GOC(중국 합작사)
    • 연구기관: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화학연구원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황화리튬 데모 설비 구축: 전고체배터리 양산 전 단계 기술 검증 완료
    • 황화물계 전해질 저가화 기술: 기존 대비 40% 이상 원가 절감 가능
    • 스마트팜 사업: 5ha 규모 중국 현지 시설 운영

    향후 전망

    • 2035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28조원 규모 전망에 따른 성장 기대
    • 그룹 내 화학사업 시너지 강화를 통한 글로벌 스페셜티켐 기업 도약
    • 친환경 에너지 사업 확대: 수소 에너지·바이오계면활성제 신규 개발
    • 중국·동남아 시장 공략을 통한 해외 매출 비중 40% 확대 목표

    2. 삼성SDI

    회사 개요

    삼성SDI는 1970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및 첨단 소재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초기에는 디스플레이 소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2000년대부터 이차전지 사업에 본격 진출하여 전기차용 배터리,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소형 전지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전 세계 13개 제조 거점과 5개 연구소를 운영하며 31,700명의 임직원이 활동 중입니다.

    주요 사업

    • 이차전지 사업: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각형·원통형), ESS, 소형 배터리(IT 기기용)
    • 전자재료 사업: 반도체·디스플레이용 핵심 소재(OLED 소재, CMP 슬러리 등)
    • 차세대 배터리 개발: 전고체 배터리, 리튬메탈 배터리 등 혁신 기술 연구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2027년 세계 최초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로 기술 선도성 인정
    • 900Wh/L의 업계 최고 수준 에너지 밀도 구현(기존 대비 40% 향상)
    • 고체 전해질·리튬금속 음극 기술 독자 개발로 안정성·수명 개선
    • 정부의 '민관 합동 배터리 얼라이언스' 지원 및 1,172억 원 규모 R&D 투자 참여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 22조 7,083억 원(전년 대비 12.8% 증가)
    • 2023년 영업이익: 1조 6,334억 원
    • 2024년 설비 투자 계획: 7조 1,000억 원(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라인, 4680 원통형 배터리 생산라인 등)

    시장 지위

    •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5위(2023년 기준)
    • BMW·볼보·GM 등 주요 글로벌 완성차사와 장기 공급 계약 체결
    • 20,991건의 특허 보유(2023년)로 기술 경쟁력 확보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자동차: BMW, 볼보, GM, 스텔란티스, 현대자동차
    • 소재 협력: 에코프로이엠(양극재 합작사)
    • 정부 협업: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배터리 얼라이언스' 참여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S-Line 구축: 6,500㎡ 규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2023년 완공)
    • PRiMX 브랜드: 고성능 배터리 제품군(초고속 충전·고용량 특화)
    • 무음극 기술: 음극 부피 축소를 통한 에너지 밀도 극대화

    향후 전망

    •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로 시장 선점 전략 추진
    • 북미·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 합작법인 확대(스텔란티스·GM 협업)
    • 친환경 소재 재활용 기술 개발 및 탄소중립 로드맵 실행
    • 리튬금속 음극·고체 전해질 기술 고도화를 통한 에너지 밀도 1,000Wh/L 돌파 목표

    3. 동화기업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황화물계 전해질 개발: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개발 기술 보유
    • 국책 과제 참여: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전고체 배터리 전해액 연구개발 과제 선정
    • 계열사 협업: 동화일렉트로라이트와의 시너지를 통한 전해액 첨가제 및 고체전해질 개발
    • 2차전지 사업 경험: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 생산 기반을 전고체 배터리 기술로 확장

    회사 개요

    • 설립: 1948년(목재 제재소로 시작)
    • 본사: 인천 서구 가정로97번길 28
    • 상장: 1995년 코스닥 상장
    • 사업구조: 보드(49%), 화학(32%), 건장재(19%)

    주요 사업

    1. 보드 사업
      • 파티클보드(PB), 중밀도섬유판(MDF) 생산
      • 아시아 최대 MDF 생산능력 보유(베트남, 호주 공장 운영)
    2. 화학 사업
      • 2차전지 전해액 및 첨가제 생산(동화일렉트로라이트)
      • 목재용 수지·테고 필름 제조
    3. 건장재 사업
      • 강화마루, PVC 바닥재 등 건축 내장재
      • 국내 최초 NAF(포름알데히드 무첨가) 마루 개발

    재무 정보

    • 2024년 Q3 기준:
      • 매출액: 9,408억 원
      • 영업이익: 721억 원
      • R&D 투자: 연간 132억 원(매출 대비 1.4%)

    시장 지위

    • 목재 보드: 국내 PB 점유율 35%, MDF 아시아 생산량 1위
    • 전해액 시장: 국내 생산량 기준 1위(연간 4만 톤 생산능력)
    • 글로벌 진출: 베트남·핀란드·호주 등 5개국에 현지법인 보유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자동차: 현대자동차, 기아, BMW
    • 배터리: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 건설: 현대건설, GS건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전고체 배터리
      • 고체전해질 양산 기술 개발(2026년 목표)
      • 이수스페셜티케미컬과 Li₂S(황화리튬) 공급 협력
    • 친환경 기술
      • 목재 재활용률 98% 달성
      • 탄소중립 생산공정 구축(2030년 Net Zero 로드맵)

    향후 전망

    • 2026년까지 전고체 배터리 소재 분야 매출 3,000억 원 목표
    • 북미·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테네시(미국) 공장 증설
    •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도입으로 생산 효율성 40% 개선 예정
    • 2030년까지 화학 사업 매출 비중 50% 확대 계획

    4. 미래컴퍼니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리튬 기반 차세대 배터리 성능고도화 및 제조기술개발사업'의 '50㎠ 이상급 전고체 배터리셀 제조장비 개발' 과제 선정
    • 삼성SDI와의 전고체 배터리 양산 협력 프로젝트 참여(2027년 양산 목표)
    • 공정 최적화 및 비전/엑스레이 검사 기술을 활용한 전고체 배터리 제조 기술 보유

    회사 개요

    • 1984년 설립된 코스닥 상장 기업(2005년 상장)
    • 임직원 330명 규모의 중견기업(2021년 기준 매출 1,164억 원)
    • 사업 영역: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93%), 수술로봇(4%), 터치패널(3%)

    주요 사업

    • 정밀가공 장비: 디스플레이/반도체용 Edge Grinder(세계 시장 점유율 1위)
    • 수술용 로봇: 국내 최초 복강경 수술로봇 'Revo-i' 개발(2018년 상용화)
    • 이차전지 장비: 전고체 배터리 셀 제조용 스태킹 장비 및 검사 장비 개발

    재무 정보

    • 2021년 매출: 1,164억 원
    • 해외 매출 비중: 74%(3분기 기준, 주력 제품 글로벌 수출)

    시장 지위

    • 디스플레이 연삭가공 장비(Edge Grinder)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 국내 유일 수술로봇 상용화 기업(Intuitive Surgical 다음으로 세계 2위)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2차전지 협력사: 씨아이에스, 디에이치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MOU 체결
    • 반도체 고객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업체에 장비 공급
    • 의료기관: 국내 주요 대학병원에 수술로봇 공급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산업부 주관 '전고체전지 셀 제조장비 개발' 5년간 국책 과제 수행(2024년 완료)
    • 다층 라미네이션 기술을 활용한 배터리 용량 증대 기술 개발
    •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공정용 고정밀 레이저 가공 기술 보유

    향후 전망

    • 2027년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양산 본격화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예상
    • 글로벌 전고체 배터리 시장 성장(연평균 36% 성장률 전망)에 따른 수혜 기대
    • 의료로봇 분야에서 Revo-i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 계획

    5. 테이팩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접착형 집전체용 열압착 부착형 접착소재 개발로 고체전해질 관련 특허(NDSL) 취득
    • LG화학·ETRI와 공동 진행한 '중대형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 국책 프로젝트 참여
    • 2차전지 테이프 기술을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개발에 적용 가능한 기술 인프라 보유

    회사 개요

    • 1994년 4월 설립, 2017년 10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 한솔케미칼(한솔그룹)의 계열사로 대기업 그룹의 기술/자본 지원 기반
    • 본사: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생산기지 4개소(국내) 및 3개 해외법인 운영

    주요 사업

    전자재료 사업부

    • 2차전지용 테이프: 국내 시장점유율 90%, LG에너지솔루션 100% 독점 공급
    • 디스플레이용 OCA 필름/AR 필름: 삼성디스플레이 주요 납품처
    • 반도체 보호용 테이프: FoPLP 패키징 공정용 신규 테이프 개발

    소비재 사업부

    • 식품포장용 유니랩: 국내 업소용 랩 시장점유율 1위
    • 의료용 니트릴장갑(테이케어 브랜드): 의료·방역 분야 전문

    재무 정보

    • 2024년 9월 연결기준: 매출액 전년대비 3.1%↑, 영업이익 82.3%↑, 당기순이익 153.7%↑
    • 주요 성장동력: OLED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 반도체 고집적화 추세 대응
    • 연평균 매출 성장률(2021-2024): 12.4%

    시장 지위

    • 국내 2차전지 테이프 시장 절대강자(소형전지 70%, 중대형전지 50% 점유율)
    •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SDI·LG에너지솔루션·SK온 공급망 독점적 지위
    • 식품포장용 랩 분야 국내 1위 브랜드(유니랩)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무라타
    •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BOE, CSOT
    • 유통: 홈플러스, 이마트, 농협, 스타벅스, 아성다이소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2025년 완공 예정인 새만금 2차전지 테이프 전용공장(680억 투자)
    •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용 초박형 절연테이프 상용화(2024년 3분기)
    •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초경량 OCA 필름 개발(삼성 갤럭시 Z 시리즈 적용)

    향후 전망

    •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시기와 맞춰 신규 수요 창출 예상
    • 미국·유럽 전기차 배터리 업체(테슬라·노스볼트) 공급망 진출 추진
    • 반도체용 테이프 매출 비중 확대(2026년 목표 40% 달성)
    • 디스플레이 사업부문 연평균 15% 성장률 전망(폴더블폰 시장 확대 영향)

    다른 관련주 보러가기

     

    이 글에 포함된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오직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