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AI 소프트웨어 관련주 5가지 완벽 정리, 시장 동향

by Sense.

목차

    AI 소프트웨어 관련주 최근 동향

    최근 국내 AI 소프트웨어 시장이 글로벌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 반도체 중심의 관심이 저비용·고효율 AI 모델 개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프트웨어 분야로 이동하는 흐름이 뚜렷합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2월 들어 각각 5.08%, 10.82% 상승했으며, 코난테크놀로지는 자체 LLM 기반 국방 디지털트윈 프로젝트로 한 달 새 84.74% 급등했습니다.

    금융권에서도 AI 소프트웨어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며 투자 전략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TIGER 인터넷 TOP10' ETF는 18.55%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고, AI 에이전트 기술을 보유한 루닛, 엠로, 솔트룩스 등 중소형 기업도 85% 이상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네이버는 창업자 이해진 의장의 복귀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카카오는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AI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대상 AI 솔루션을 공급하는 이스트소프트는 6개월 만에 2,000개 기업 고객을 확보하며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AI 기술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로 전환되는 흐름이 본격화되면서, 소프트웨어 시장의 전성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기업명 AI 소프트웨어 관련주 선정 이유
    아티스트유나이티드 - 퍼플렉시티(Perplexity AI)와의 협력으로 AI 기반 서비스 개발
    - LLM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 결합한 솔루션 출시
    - 생성형 AI를 광고, 마케팅,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접목
    엔젤로보틱스 - AI 기반 보행 의도 분석 알고리즘 활용, 맞춤형 재활 솔루션 개발
    - 피지컬 AI 기술과 융합된 웨어러블 로봇 플랫폼
    - 엔비디아 젯슨 토르 컴퓨터 연동, AI 로봇 시스템 구축
    - LG전자, 삼성전자 등과 협력하여 AI 기술 상용화 추진
    더존비즈온 - 생성형 AI 기반 솔루션(원AI)으로 업무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
    -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으로 기업용 디지털 전환(AX) 선도
    - ERP, 그룹웨어 등 기존 솔루션과 AI 기술 융합
    엠로 - AI 기반 공급망 관리(SCM)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 AI 기술 활용한 수요예측, 비용 최적화, 재고관리 솔루션 제공
    - 삼성SDS, SK하이닉스 등과 협력하여 AI 기술 적용 사례 확대
    네이버 - 초대규모 AI 모델 하이퍼클로바엑스 개발, 검색 서비스 고도화
    - 네이버클라우드 중심 B2B AI 솔루션 제공 확대
    - 글로벌 Sovereign AI 생태계 구축 위한 기술 협력 강화
    - 저비용 고효율 AI 개발 트렌드 대응

    1. 아티스트유나이티드

    AI 소프트웨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글로벌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 AI)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AI 기반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퍼플렉시티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자사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결합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출시하며 AI 신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 생성형 AI 기술을 광고, 마케팅,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접목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 설립연도: 2010년 7월(와이더플래닛에서 사명 변경)
    • 상장여부: 코스닥 상장(2021년 2월 3일)
    • 시가총액: 1,582억 원(2025년 2월 기준)
    • 주요주주: 이정재(최대주주), 위지윅스튜디오
    •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주요 사업

    • AI 기반 광고 플랫폼: 모바일/PC 타겟팅 광고 서비스(매출의 97%)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 영화 배급, 드라마 공동제작
    • 데이터 판매: 사용자 행동 분석 데이터 상품화
    • AI 솔루션 개발: 퍼플렉시티와 공동개발한 커머스/마케팅 최적화 시스템

    재무 정보

    구분 2023년 4Q 2022년 4Q
    매출액 2,127억 원 3,576억 원
    영업이익 -327억 원 -630억 원
    순이익 -528억 원 -1,895억 원
    부채비율 39.24% -

    시장 지위

    • 국내 DSP(Demand Side Platform) 시장 점유율 1위
    • 월간 광고 거래량 1,200억 건 이상 처리
    • 엔터테인먼트 분야 AI 솔루션 시장 선점 기업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로벌 파트너: 퍼플렉시티, 엔비디아, 아마존 웹서비스(AWS)
    • 국내 고객사: 아우디 코리아, LF몰, 우리금융지주
    • 엔터테인먼트 협력사: 넷플릭스, 아티스트스튜디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퍼플렉시티 AI 검색엔진 연동 시스템: 실시간 시장 트렌드 분석 기능
    • 개인화 마케팅 엔진: 사용자 행동 예측 알고리즘(특허 7건 보유)
    • 콘텐츠 추천 플랫폼: 영화/드라마 장르 선호도 분석 기술
    • AI 커머스 솔루션: 실시간 가격 최적화 및 상품 매칭 시스템

    향후 전망

    • 2025년 상반기 중 AI 기반 B2C 서비스 출시 예정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동남아 진출 전략 수립 중
    • 퍼플렉시티와의 추가 협업을 통해 검색 기반 광고 플랫폼 강화 계획
    • 엔터테인먼트 IP와 AI 기술 결합한 신규 사업 모델 개발 진행

    2. 엔젤로보틱스

    AI 소프트웨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AI 기반 보행 의도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한 맞춤형 재활 솔루션 개발
    • 피지컬 AI 기술과 융합된 웨어러블 로봇 플랫폼 선도
    • 엔비디아 젯슨 토르 컴퓨터 연동을 통한 AI 로봇 시스템 구축
    • LG전자, 삼성전자 등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AI 기술 상용화 추진

    회사 개요

    • 설립연도: 2017년 2월
    • 대표이사: 공경철(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출신)
    • 본사 위치: 서울 성동구 성수이로22길 37
    • 기업 비전: "기술로 사람의 능력을 재창조한다"
    • 상장 현황: 2024년 3월 코스닥 상장

    주요 사업

    의료 재활 분야

    • 하지 마비 환자용 웨어러블 재활로봇 '엔젤렉스 M20'
    • 보행 패턴 분석 및 20단계 보조력 조절 시스템

    산업 안전 분야

    • 근골격계 질환 예방용 '엔젤 기어' 시리즈
    • 유압 복합 구동기 기술 기반 중량물 처리 솔루션

    일상 생활 지원

    • 노약자용 일상 보조 로봇 '엔젤 슈트'
    • 실시간 동작 분석 및 균형 제어 시스템

    재무 정보

    • 2024년 매출: 90억 원(예상)
    • 2025년 흑자 전환 목표(17억 원 영업이익 예상)
    • 2026년 목표 매출: 361억 원
    • 주요 투자사: LG전자, 삼성전자, CJ대한통운

    시장 지위

    • 국내 웨어러블 로봇 시장 점유율 1위
    • 세계 최초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기업
    • 사이배슬론 2020/2024 2회 연속 금메달 수상
    • 의료기기 3등급 인증 최초 획득(로봇 보행치료 분야)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기술 협력: KAIST,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 전략적 투자: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차
    • 주요 고객: 상급종합병원 23개소, 복지관 47개소
    • 해외 파트너: 말레이시아 UiTM 의과대학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핵심 기술

    •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플랫폼
    • 초정밀 토크 제어 구동기
    • 다중 센서 퓨전 기반 보행 궤적 생성

    R&D 현황

    • 보유 특허: 68건(웨어러블 로봇 관련)
    • 연구인력: 전체 직원의 52%(박사 9명 포함)
    • 진행 프로젝트: 4족 보행 로봇 '스팟' 경호용 버전 개발

    향후 전망

    • 2026년 글로벌 웨어러블 로봇 시장 2조 원 진출 목표
    • CE/FDA 인증 진행을 통한 유럽·북미 시장 공략
    • 국방 분야 진출: 군용 외골격 시스템 개발 가속화
    • AI 클라우드 연동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예정
    • 산업용 로봇 부품 사업 매출 비중 40% 확대 계획

    3. 더존비즈온

    AI 소프트웨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생성형 AI 기반 솔루션(예: 원AI)을 통해 업무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
    •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을 활용한 기업용 디지털 전환(AX) 선도
    • ERP, 그룹웨어 등 기존 솔루션과 AI 기술의 융합으로 시장 경쟁력 강화

    회사 개요

    • 1977년 설립된 대한민국 대표 ICT 기업으로 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 시장 점유율 1위
    • 본사: 강원도 춘천시, 직원 수 약 1,800명(2025년 기준)
    • 핵심 비전: "기업을 움직이는 푸른심장"을 모토로 디지털·AI 전환 혁신 주도

    주요 사업

    • ERP 솔루션: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맞춤형 시스템 제공(아마란스10, WEHAGO 등)
    • 클라우드 플랫폼: D-클라우드 센터 기반 All-in-One 서비스
    • AI 통합 솔루션: 원AI(생성형 AI 비서), 젠 AI 듀스(개발 자동화 플랫폼)
    • 금융테크: 매출채권유동화, 기업신용등급제공업 본허가 획득

    재무 정보

    구분 2023년 실적 2024년 전망
    매출 3,536억 원 3,930억 원
    영업이익 684억 원 830억 원
    클라우드 비중 41.7% 50% 이상

    시장 지위

    • 국내 ERP 시장 점유율 1위
    • 중소기업 대상 AI 솔루션 시장 선점
    • 글로벌 SaaS 진출을 위한 AWS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기술 협력: 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NHN Cloud
    • 금융 제휴: KB국민은행, 신한은행, IBK기업은행
    • 주요 고객: 1,000여 개 기업(원AI 도입 기준)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옴니이솔(OmniEsol): AI 기반 통합 비즈니스 플랫폼
    • ONE AI: ERP·그룹웨어 연계 생성형 AI 비서
    • GEN AI DEWS: 소스코드 자동 생성 개발 도구
    • D-클라우드 센터: 기업용 보안 클라우드 인프라

    향후 전망

    • 2025년 클라우드 매출 비중 50% 돌파 예상
    • 생성형 AI 서비스 본격화로 연평균 20% 이상 이익 성장 전망
    • 인터넷전문은행 진출 및 글로벌 SaaS 시장 확대 기대
    • 중소기업 대상 AI·금융테크 시장 선점을 통한 신사업 다각화

    4. 엠로

    AI 소프트웨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AI 기반 공급망 관리(SCM)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분야에서 국내 1위 기업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수요예측, 비용 최적화, 재고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삼성SDS, SK하이닉스 등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기술 적용 사례를 확대하며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회사 개요

    • 2000년 설립된 AI 기반 기업용 공급망관리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입니다.
    • 서울 영등포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코스닥 시장에서 시가총액 8,533억 원(2024년 기준)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 2024년 기준 매출액 794.6억 원, 영업이익 86.1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주요 사업

    • AI 기반 SCM 솔루션: 구매 프로세스 최적화, 자재 원가 관리, 공급망 리스크 대응 시스템 구축
    • 클라우드 서비스: 국내 최초 공급망관리 클라우드 플랫폼 'emroCloud' 운영
    • 글로벌 협력: 미국 기업 '오나인 솔루션즈'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해외 시장 진출

    재무 정보

    • 2024년 매출액: 811억 원(한국투자증권 추정)
    • 2024년 영업이익: 92억 원(한국투자증권 추정)
    • 2023년 12월 기준 자본총계: 272억 2,006만 원

    시장 지위

    • 국내 기업용 SCM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 1위
    • 코스닥 시가총액 56위(2024년 12월 기준)
    • 500여 개 기업 고객사 보유(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등 포함)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대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현대모비스
    • 글로벌 협력사: 삼성SDS(미국 전자 제조사와 공동 프로젝트 수행), 오나인 솔루션즈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스마트스위트 v10.0: AI 예측 모델링을 적용한 차세대 구매시스템
    • 케이던시아(Caidentia): 글로벌 SRM SaaS 솔루션으로 미국 시장 진출
    • AI 유사도 분석 기술: 데이터 자동 분류 및 품목 단가 변동 추이 예측

    향후 전망

    • 2025년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 전망
    • AI 기술 발전에 따른 공급망 관리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로 연평균 25% 성장률 유지 예상
    • 삼성SDS와의 협력을 통해 북미 및 아시아 시장에서 추가 고객사 확보 계획

    5. 네이버

    AI 소프트웨어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초대규모 AI 모델 하이퍼클로바엑스 개발 및 검색 서비스 고도화에 활용
    •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B2B AI 솔루션 제공 확대
    • 글로벌 Sovereign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 협력 강화(중동, 일본 등)
    • 중국 AI 기업 딥시크 R1 등장으로 저비용 고효율 AI 개발 트렌드에 대응 가능성 제시

    회사 개요

    •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 대표 인터넷 플랫폼 기업
    • 세계 최초 종합검색 서비스 및 지식인 Q&A 플랫폼 개발
    • 2023년 기준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 74.7% 차지
    • 본사: 경기도 성남시, 글로벌 법인 15개국 운영

    주요 사업

    사업 분야 주요 내용
    서치플랫폼 검색 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커머스 스마트스토어, 쇼핑라이브, 여행예약
    핀테크 네이버페이, 금융비교서비스
    콘텐츠 웹툰, 웹소설, SNOW, 제페토
    클라우드 NCP(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AI 솔루션

    재무 정보

    • 2023년 3분기 매출 구성: 서치플랫폼(37.3%), 커머스(26.4%), 핀테크(14.0%)
    • 2024년 연간 매출 목표: 10조 원 이상
    • R&D 투자비중: 매출 대비 20% 수준 유지

    시장 지위

    • 국내 인터넷 검색 시장 1위(74.7%)
    • 모바일 메신저 '라인' 일본 시장 점유율 1위
    • 웹툰 플랫폼 글로벌 사용자 2,800만 명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기술 협력: NVIDIA, 인텔, 삼성전자
    • 클라우드 파트너: 오브젠, 솔트웨어, 유비온
    • 글로벌 진출: 사우디 SDAIA, 일본 소프트뱅크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하이퍼클로바: 한국어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 서치GPT: AI 기반 차세대 검색 서비스
    • 디지털 트윈: 사우디아라비아 현실 매핑 프로젝트
    • Zepeto: 메타버스 플랫폼 글로벌 확장

    향후 전망

    • 2025년까지 AI 연구개발 인력 5,000명 규모 확대
    • 중동 지역 디지털 인프라 구축 주도 계획
    • 일본 시장 재진출을 위한 AI 기술 수출 가속화
    • 주가 회복 기대: 2025년 목표주가 26만 원(한국투자증권 전망)

    다른 관련주 보러가기

     

    이 글에 포함된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오직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